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문 대통령의 방중 성과? '중국몽'이라는 악몽


입력 2017.12.16 04:29 수정 2017.12.16 09:04        데스크 (desk@dailian.co.kr)

<칼럼>기자 폭행에다 계속된 외교 결례 예견된 참사

'홀대' 지적하자 '자살골 넣지마라' 오만불손 중 언론

14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 국빈방문 행사를 취재하던 한국의 한 사진기자가 베이징 국가회의 중심 B홀에서 중국 측 경호 관계자에게 일방적으로 폭행 당하고 있다.ⓒ연합뉴스 14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 국빈방문 행사를 취재하던 한국의 한 사진기자가 베이징 국가회의 중심 B홀에서 중국 측 경호 관계자에게 일방적으로 폭행 당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그야말로 ‘역대급’이었다. 국권을 양보하고, 굴욕을 참아냈지만, 돌아 온 것은 폭력뿐이다. 문 대통령을 취재하기 위해 동행한 우리 취재기자단에 대한 폭행은 중국 국빈방문의 ‘화룡점정’이었다. 다 벗어주고 뺨 맞은 격이다.

아무리 중국의 언론인에 대한 인식이 우리와 다르다고 해도, 우리나라 대통령을 취재하기 위한 동행한 대한민국 국민을 대표한 기자들이다. 그들을 이렇게 함부로 대했다는 것은 우리 대통령과 우리 국민에 대한 엄청난 도발이다. 얼마나 우리정부를 우습게 봤으면 이런 일이 벌어졌겠는가? 이에 대한 중국정부의 반응도 납득할 수 없다. ‘유감’이 아니라 ‘관심’이란다. 원론적이라도 사과를 했어야 한다. ‘국빈’으로 초대했다면 최소한 그랬어야한다.

애초부터 예견됐던 ‘외교참사’다. 우리 정부는 한중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해 우리 주권사항을 양보했다. 그것이 ‘3불’이다. 중국은 그에 만족하지 않았다. 끊임없이 ‘약속이행’을 강요했다. 형식적으로 무례일 뿐 아니라, 내용적으로도 심각한 국권침해다. 중국 관영매체인 CCTV는 방중 전 문대통령과의 인터뷰에서 집요하게 약속이행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방법제시를 요구했다. 이 또한 결례고 주권침해다. ‘동방예의지국’인 대한민국과 우리 국민이 점잖아서 망정이지, 중국 같았으면 폭력을 가할 수도 있는 일이었다.

문 대통령의 방중기간에도 결례는 계속되었다. 국빈방문임에도 불구하고 공항영접의 격을 너무 낮췄다. 손님을 불러놓고 시진핑 주석을 비롯한 중국지도부는 난징으로 출동했다. 난징에 함께 갔다던 리커창 총리는 문 대통령이 도착했을 때 북경에 있었으면서도 만나주지 않았다. 우리의 대통령이 왜 중국에서 ‘혼밥’을 먹고 서민체험을 해야 한단 말인가? (우리 외교라인도 문제가 있다. 그럴 것 같으면, 사전에 조율해 시기를 조정했어야 했다.)

우리 언론이 중국의 홀대를 문제삼는 기사를 내자, 중국 관영매체인 환구시보는 ‘자살골을 넣지 말라’고 경고했다. 적반하장도 유분수다. 그 기사가 나오자마자 중국 공안의 지휘를 받는 중국 경호원들이 한국기자들을 폭행했다.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언론의 사과 요구에 중국은 딴전만 피고 있다.

회담 결과도 개운치 않았다. 논란 중에 정상회담을 했지만 공동발표는 없었다. 각자 발표한 내용도 알맹이가 없었다. 뻔한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를 얘기하며 구체적인 방법론은 의도적으로 뺏다. 대신 핵미사일에 대한 방어무기인 ‘사드’에 대한 중국 측의 유감과 추가조치요구가 그 자리를 채웠다. 중국이 북핵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피해국인 우리나라를 압박하고 길들이려 하는 것이다. 중국은 ‘북핵억지’보다는 ‘대미전략’이 우선이고, 한국은 그 희생양이 돼도 좋다는 입장이다.

우리정부도 중국의 눈치를 그만보고 당당하게 임해야 한다. 그냥 유야무야해서는 ‘천추의 한’이 될 것이다. ‘한중관계의 틀’을 다시 정립하는 시점이다. 시진핑주석이 트럼프 미대통령을 만나 우리나라가 ‘수천년간 중국의 일부였다’고 한 말은 외교적 수사가 아니다. 시주석과 중국의 기본입장이다.

우리는 ‘중국의 일부’에서 벗어나기 위해 수천년 동안 노력했다. ‘대한제국’에 와서야 독자적인 연호를 쓰며 독립선언을 할 수 있었다. 신라시대 이후 처음이다. 서대문형무소 옆 ‘독립문’이 상징하는 바다. 중국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우리는 일본과 열강의 도움이 필요했고, 그로 말미암아 일제의 치욕을 겪게 된 것이다. 일제식민시대는 어찌보면 중국이 제공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35년의 일제시대 이후 우리는 다시 독립을 했고, 수천년간의 중국영향과 수십년의 일제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수천년과 수십년은 비교가 안된다) 우리의 독립은 중국이 그만큼 약해졌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제 중국이 깨어났고 새로운 꿈을 꾸기 시작했다. 전통시대의 패권국을 꿈꾸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위기다. 중국은 ‘대국굴기(大国崛起)’라는 ‘중국몽(中國夢)’을 주창한다. '위대한 중화민족의 부흥'에는 다른 민족의 굴종이 전제된다. 그런 ‘중국의 꿈’은 우리에겐 ‘악몽(惡夢)’이다.

필자는 문 대통령의 방중소식을 접하고 ‘삼전도의 굴욕’이 떠올랐다. 분을 삭이느라 고생했다. 그 때 조선의 지식인들은 어떻게 느꼈을까 궁금했다. 그래서 찾은 한시 한편을 보고 마음을 가라앉히고 다잡았다. 조선 후기 문신인 남유용(南有容,1698,숙종24∼1773,영조49)이 영조 7년(1731년) 지은 시로, 삼전도의 비석을 보고 청나라에 항복했던 치욕에 대한 감회를 표현한 것이다.

過三田渡有作 (과삼전도유작) 삼전도를 지나면서 짓다

石生不願堅以穹 (석생불원견이궁) 돌로 나면 단단하고 크기를 바라지 말 것이니
試看三田渡口碑 (시간삼전도구비) 삼전도 어귀의 비석을 보아라.
人生不願才且文 (인생불원재차문) 사람으로 나면 재주와 글을 바라지 말 것이니
試讀三田碑上辭·(시독삼전비상사) 삼전도의 비문을 읽어보아라.
三田日夜流沄沄 (삼전일야유운운) 삼전도 강물은 밤낮으로 소용돌이쳐 흐르는데
下流直接東江涘 (하류직접동강사) 아래로 흘러서 곧장 동강 가에 닿았네.
他年若過東江去 (타년약과동강거) 다른 해에 만약 이 동강을 지난다면
莫以吾牛飮江水 (막이오우음강수) 우리 소에 그 강물을 먹이지 않으리라.

내용을 설명하자면 이렇다. 좋은 돌은 항복의 치욕스러운 역사를 기록하는 비석이 되기 쉽고, 글재주가 있는 사람은 치욕스러운 비문을 짓게 될 수도 있으니 부러워할 것이 없다는 것이다. 삼전도비를 거쳐 흘러온 강물은 더러워진 물이니 허유(許由)와 소부(巢父)의 고사처럼 자신의 소에게도 그 강물을 먹이지 않겠다며 중국(청나라)에 대한 적개심을 나타내고 있다.

치욕을 부른 한·중 정상회담을 기획하고, 발표문을 기안한 외교전문가, 관료들의 재주를 부러워 할 수 없게 됐다. 언론이 전하는 소식이 더러워 귀와 눈을 씻게 된다.

글/김우석 미래전략개발연구소 부소장

데스크 기자 (des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