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국내 가전·태양광 업계 '세이프가드 충격' 속 온도 차


입력 2018.01.24 06:00 수정 2018.01.24 08:57        이홍석 기자

트럼프 대통령 수입 세탁기·태양광 제품 관세 부과 승인

120만대 미만 부과 '최악' 가전 vs 권고안보다 낮아 '안도' 태양광

지난 14일(한국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의 가전제품 매장인 베스트바이에서 현지인들이 삼성전자의 세탁기를 살펴보고 있다.ⓒ연합뉴스 지난 14일(한국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의 가전제품 매장인 베스트바이에서 현지인들이 삼성전자의 세탁기를 살펴보고 있다.ⓒ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 수입 세탁기·태양광 제품 관세 부과 승인
120만대 미만 부과 '최악' 가전 vs 권고안보다 낮아 '안도'


미국 정부가 수입 세탁기와 태양광 제품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조치를 발동하면서 국내 가전과 태양광업계가 당혹감 속에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다만 가전업계는 예상보다 높은 강도에 패닉에 빠진 반면 태양광업계는 예상됐던 수준이어서 분위기에는 다소 온도 차가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수입 세탁기와 태양광 전지·모듈에 세이프가드 조치를 부과하라는 권고안을 승인했다.

예상 뛰어넘은 세탁기 세이프가드...120만대 미만에도 20% 관세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가전업계는 이 날 대형 가정용 세탁기 제품에 대해 예상보다 높은 강도의 관세 부과가 이뤄지면서 충격에 빠졌다.

이 날 승인된 권고안에서 수입세탁기는 첫 해 120만대에 대해 20% 관세가, 이를 초과하는 물량에 대해서는 50%의 관세가 각각 부과된다.

이는 당초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의 권고안에서 최고 수준이다. ITC는 연간 120만 대를 초과해 수입되는 대형 가정용 세탁기제품과 특정 부품 5만개 초과 물량에 대해 첫해 50%, 2년차 45%, 3년차 40%씩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으로 권고안을 마련했다.

120만대 미만 물량에 대한 관세 여부는 결정하지 못한 채 미 부과와 20%의 관세 부과 등 2가지 의견을 모두 전달하면서 국내 가전업계에서는 미 부과에 대한 기대섞인 전망을 하고 있었던 터였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가장 높은 수준의 조치를 취하면서 국내 가전업계의 기대를 저버렸다. 17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미국 세탁기 산업을 파괴하며 세탁기를 미국에 덤핑하고 있다’고 발언한 것이 허언이 아니었음을 입증했다.

이번 결정은 미국 가전업체 월풀이 정부에 수입 제품에 대한 제제수위가 약해 보다 강력한 조치를 요구해 온 것을 수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세탁기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에 밀리고 있는 월풀은 마국 정부에 강력한 제제를 요청해 왔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가전업체들은 대책 마련에 부심하면서도 현지 공장 생산 확대 이외에는 뾰족한 해법이 없다는데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현재 북미 지역에 연간 약 300만대의 세탁기를 수출, 판매하고 있는데 대부분 동남아에서 제조하고 있다. 현행 관세는 1% 수준으로 세이프가드 조치가 발동되면 최소 20%, 최대 50% 관세가 부과돼 수익성 타격이 불가피하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와 테네시주에 신규 가전 공장에서의 생산 물량을 늘리겠다는 계획이지만 단기간내 가능할 것인지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삼성전자 사우스캐롤라이나 공장은 지난 12일 가동에 들어간 상태로 LG전자 테네시주 공장은 연말 완공돼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업계의 기대와 달리 120만대 미만 물량에 대해서도 관세가 부과되면서 충격의 여파는 클 것”이라면서도 “다만 극복할 수 있는 수준인 만큼 미국 현지 생산 물량 적극 확대 등을 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 모델이 태양광 모듈 ‘네온 R’(NeON R)을 선보이고 있다.ⓒLG전자 LG전자 모델이 태양광 모듈 ‘네온 R’(NeON R)을 선보이고 있다.ⓒLG전자
태양광업계, 충격 속에도 예상 범위 내 안도

태양광업계도 세이프가드 발동으로 인해 충격이 크지만 그 강도는 가전업계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따르면 2.5기가와트(누적 용량)를 넘는 한국산 등 수입 태양광 셀 제품에 대해 1년 차 30%, 2년 차 25%, 3년 차 20%, 4년 차 15%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2.5기가와트 이하 물량에 대해서는 관세를 매기지 않기로 했다.

또 태양광 모듈에는 용량에 관계없이 1년차 30%, 2년차 25%, 3년차 20%, 4년차 15%로 관세율이 정해졌다.

이번 세이프가드 조치로 한화큐셀·LG전자·현대그린에너지 등 국산 태양광 제품의 북미 수출은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한국은 지난 2016년 기준 말레이시아와 중국에 이어 세 번째로 미국에 태양광 제품을 많이 수출한 국가다.

그해 미국이 수입한 셀과 모듈 등 태양광 제품 규모는 총 83억달러(약 8조9000억원) 가량인데 이 중 한국산 제품은 13억달러(약 1조4000억원)로 금액 기준으로 약 15.6%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이 때문에 국내 태양광어계에서도 이번 세이프가드 조치로 수출에 상당부분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부품 수입 단가 인상으로 가격 메리트가 하락할 뿐만 아니라 미국 태양광 시장 위축으로 수출량도 자연스레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상위업체나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업체들을 중심으로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국내 태양광 모듈 1위 한화큐셀의 경우, 지난 2016년 기준 미국의 매출 비중이 30~40%를 차지했다.

당시 넥스트에라와 1.5GW급 대규모 공급계약을 체결하면서 비중이 커진 측면이 있긴 하지만 북미 시장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시장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고민이 깊어질 전망이다. 이와 관련, 한화 관계자는 “미국 말고도 유럽과 일본 등 이미 시장이 다변화돼 있어 피해를 충분히 줄일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이번 세이프가드 조치가 예상했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면서 당혹감 속에서도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

이번 세이프가드 조치는 지난해 4월 미국 태양광 전지업체 수니바의 ITC 청원 결과물이다. 수니바는 한국 등 수입 태양전지와 패널 제품의 저가 공세로 미국 태양광 업체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면서 최대 50% 수준의 관세율 부과를 요청했다.

이에 따라 ITC는 그 해 11월 수입 태양광 셀에 최대 35%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권고안을 확정했다. 오늘 발표된 관세율은 셀·모듈 모두 최대가 30%(1년차)여서 업계 요청과 권고안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관세 부과로 인한 충격이 분명히 있지만 최악은 피했다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며 "이미 예상했던 수준인 만큼 업체들로서는 충격을 최소화하는데 초점을 맞춰 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