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유엔총회서 벌이는 한반도 '빅딜'…북핵 외교전 '주목'


입력 2018.09.23 05:00 수정 2018.09.23 02:39        박진여 기자

남북 평양공동선언 後 주목도 확대…남북미 한 목소리 낼까

韓美 정상·北美 외교수장 회동…비핵화 수준·속도 가늠쇠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쏠렸던 전 세계 이목이 뉴욕 유엔총회로 집중되고 있다. 내주 유엔총회 계기 한미 정상회담과 북미 고위급 회동이 예고되면서 한반도 외교의 '중심 무대'로 주목받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쏠렸던 전 세계 이목이 뉴욕 유엔총회로 집중되고 있다. 내주 유엔총회 계기 한미 정상회담과 북미 고위급 회동이 예고되면서 한반도 외교의 '중심 무대'로 주목받고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남북 평양공동선언 後 주목도 확대…남북미 한 목소리 낼까
韓美 정상·北美 외교수장 회동…비핵화 수준·속도 가늠쇠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쏠렸던 전 세계 이목이 뉴욕 유엔총회로 집중되고 있다. 내주 유엔총회 계기 한미 정상회담과 북미 고위급 회동이 예고되면서 한반도 외교의 '중심 무대'로 주목받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뉴욕에서 정상회담을 갖는다. 문 대통령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조기에 비핵화를 마치고 경제건설에 매진하고 싶다'는 북한 김정은 국무 위원장의 의지와 평양공동선언에는 담기지 않은 추가 메시지를 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남북이 목표로 하는 '연내 종전선언' 논의도 이끌어낼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평양 남북정상회담 '대국민 보고'에서 "우리(남북)는 연내에 종전선언을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며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때 이를 논의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번 평양공동선언으로 닫혔던 북미 대화도 열렸다. 미국 정부는 이번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협상에 참여할 준비가 됐다'고 선언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평양공동선언이 발표된 당일 "나의 카운터파트인 리용호 북한 외무상을 다음 주 뉴욕에서 만나자고 초청했다"며 "또 가까운 시일내 오스트리아 빈에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만나도록 북측 대표를 초청했다"고 밝혔다. 북미 고위급과 실무급의 투 트랙 회담을 예고한 것이다.

남북 평양공동선언 後 주목도 확대…남북미 한 목소리 낼까

이 같은 자리에서 한미·북미 간 공감대가 형성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유엔 총회 연설 내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평양공동선언 결과에 대해 만족감을 내비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연설에서 북한의 비핵화 협상 진전을 위한 독려 메시지를 전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유엔총회에서 김정은 위원장을 '로켓맨'으로 지칭하며 "북한을 파괴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당시 북측 연설자로 나선 리용호 외무상은 트럼프 대통령을 '정신이상자'라고 부르며 "모든 자위적 대응권리를 사용하겠다"고 응수했다.

주변국의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변수도 배제할 수 없다. 유엔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유효한 상황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조치 전까지 제재를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과 북한의 비핵화 이행 과정 중 제재 완화 및 해제가 수반돼야 한다는 입장이 맞붙을 수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주변국의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변수도 배제할 수 없다. 유엔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유효한 상황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조치 전까지 제재를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과 북한의 비핵화 이행 과정 중 제재 완화 및 해제가 수반돼야 한다는 입장이 맞붙을 수 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올해는 북미 비핵화 협상 국면이 이어지면서 양측 모두 절제된 모습으로 상대의 양보를 압박하는 태도를 취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도 북측 수석대표로 나서는 리 외무상은 북미 2차 정상회담 가능성이 거론되는 상황에서 미국에 대한 대결적 자세를 자제하는 한편 종전선언과 제재 완화 목소리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주변국의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변수도 배제할 수 없다. 유엔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유효한 상황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조치 전까지 제재를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과 북한의 비핵화 이행 과정 중 제재 완화 및 해제가 수반돼야 한다는 입장이 맞붙을 수 있다.

이에 협상 중재역을 맡은 우리 정부의 역할, 한반도 운전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더 힘이 실리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외교 무대에서 북한의 동창리 엔진시험장 및 미사일 발사대 폐기 약속과 합의문에 담기지 않은 북한의 추가 조치 등을 언급하며 설득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에 내주 유엔총회 기간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과 북미 투 트랙 접촉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종전선언의 운명이 큰 틀에서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인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