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최저임금 상승 여파, 저소득층 근로소득 올해도 지속 감소


입력 2019.05.23 14:10 수정 2019.05.23 14:11        이소희 기자

하위 20% 소득 5분기 연속 감소…전년 대비 14.5% 줄어

정부 “소득 급락 멈춰서, 소득분배지표는 개선되는 모습”

하위 20% 소득 5분기 연속 감소…전년 대비 14.5% 줄어
정부 “소득 급락 멈춰서, 소득분배지표는 개선되는 모습”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20%(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이 1년 전보다 2.5%, 소득 상위 20%(5분위)는 2.2% 각각 줄어들었다.

특히 1분위 소득은 지난해 1분기(-8.0%) 이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 분기보다는 폭이 줄어들었지만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고용조정과 이로 인한 저소득층의 소득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됐다.

1분위 근로소득(40만4400원)은 전년 대비 14.5%나 감소했다. 1분위 특성상 노인층 인구가 많아 기초연금 인상 효과로 이전소득이 증가했지만 근로소득 감소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층인 5분위 가계의 명목소득도 월평균 992만5000원으로, 2.2% 감소해 2015년 4분기(-1.1%) 이후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다.

5분위 소득 감소는 근로소득(741만900원, -3.1%), 사업소득(163만9300원, -1.9%), 재산소득(2만7800원, -11.4%), 비경상소득(7만4300원, -37.2%) 등에서 전반적으로 소득이 줄어 경기둔화 여파를 실감케했다.

차하위 계층인 소득 하위 20∼40%(2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284만4000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4.4% 늘었으며, 중간 계층인 소득 상위 40∼60%(3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5.0%, 차상위 계층인 소득 상위 20∼40%(4분위) 가계는 4.4% 각각 늘었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19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에 따르면, 1분위 가구의 올해 1~3월 평균 소득은 125만4700원으로 전년대비 2.5% 감소했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 ⓒ통계청 가구당 월평균 소득 ⓒ통계청

가구당 명목 월평균 소득은 482만6000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보다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근로소득은 322만1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한 반면, 사업소득은 89만2000원으로 전년(90만5000원) 같은 기간 보다 1.4% 감소했다.

사업소득의 감소 원인으로는 도소매·음식·숙박을 중심으로 자영업황의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파악됐다.

재산소득은 배당소득과 개인연금 수입 감소 등의 원인으로 전년대비 26% 감소했다.

가계의 명목 처분가능소득은 0.5% 감소해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었던 2009년 3분기(-0.7%) 이후 처음 줄어들었다.

경기부진이 지속되면서 전체 가구 소득 증가율은 2017년 2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둔화됐다.

이 같이 소득증가율이 둔화되면서 소득에서 세금과 대출금 이자비용, 국민연금·건강보험 등 사회보험료 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374만8000원)도 전년 대비 0.5% 줄어들었다. 비소비지출은 107만8300원으로 8.3% 증가했다. 연금, 사회보험, 이자비용 등이 각각 9.1%, 8.6%, 17.5%씩 늘어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는 소득증가율은 크게 둔화됐지만 2~4분위 소득이 늘어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상·하위 가계의 소득이 모두 줄어들면서 소득분배 상황은 1년 전보다 소폭 개선됐다는 분석이다.

1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전국 2인 이상 가구)은 5.80배로 1년 전(5.95배)보다 0.15 하락했으며, 1분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은 1년 전보다 0.4% 증가했고, 5분위 처분가능소득은 2.1% 감소한 것을 소득분배로 해석했다.

통계청은 이 같은 소득분배 상황을 정부의 아동수당, 실업급여 국민연금, 기초연금 등 공적이전소득을 통한 정책적 효과 확대된 것을 이유로 꼽았다.

박상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1분위의 소득 급락이 좀 멈춰서는 모습이며, 5분위에서는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의 부진이 나타났지만 소득분배지표는 개선되는 모습”이라며 “분배지표가 개선됐어도 전체 시장의 소득 상황이 좋아진 것으로 판단하기에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시장의 소득창출 여력은 녹록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