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적인 사고대응 협력체계 강화
화학물질안전원은 오는 16일 오전 ‘사고상황공유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화학사고 대응기관 간 가상 합동훈련을 실시한다.
화학물질안전원에서 개발한 사고상황공유앱은 2015년 8월부터 환경부를 비롯해 소방서 등 화학사고 대응기관 997곳에 배포해 2380명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용 앱이다.
앱은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환경부, 행정안전부, 소방서, 경찰, 지자체 등 화학사고 대응기관에 화학물질 정보, 유해·위험성, 대응 요령 및 현장 상황 등을 신속히 전달한다.
앱은 환경부 및 화학물질안전원과 관계기관 유기적인 사고대응 협력체계 강화에 이바지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해당 앱을 활용한 이번 훈련은 환경부, 행정안전부, 전라북도, 익산시, 전북소방본부, 익산소방서,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전북 익산 지역 화학사고 대응 관계기관과 화학물질 운반업체가 참여한다.
훈련은 염산을 운반하던 탱크로리가 교통사고로 전복돼 염산이 누출되고 염화수소 가스가 인근으로 확산하는 상황을 가정해 진행된다.
화학물질안전원 종합상황실은 사고상황공유앱을 활용해 사고 발생부터 복구까지 이번 가상훈련 화학사고를 총괄 지휘한다.
아울러 ▲화학물질 유해·위험성 및 대응 주의사항 ▲기상정보 및 유해가스 확산 예상 위험지역 ▲유해화학물질 운반차량 운반계획 정보 ▲주민대피 ▲방재 및 현장수습 복구 요령 등을 훈련 참여 기관에 제공한다.
조은희 화학물질안전원장은 “화학사고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관계기관 간에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공유가 필수”라며 “화학사고 현장에서 앱을 폭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훈련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