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양주시, 화장장.장례식장 포함 '종합장사시설' 추진..주민반발 등 대책마련 부심


입력 2023.04.03 15:43 수정 2023.04.03 15:48        오명근 기자 (omk722@dailian.co.kr)

경기 양주시가 화장장을 포함해 장례·안치를 한 장소에서 해결하는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추진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양주시청사 전경ⓒ양주시 제공

그러나 민선 8기 공약사업인 '경기북부 광역화장장 건립'이 예정부지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예상되고 인근 지자체의 협조가 원만하게 이뤄질지는 미지수여서 시가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3일 양주시에 따르면 시는 최첨단·무공해·친환경 시설을 갖춘 원스톱 장례서비스 제공과 양주시 종합장사시설 건립 추진위원회(이하 ‘위원회’)를 통한 공개추진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위원회 구성을 위한 ‘양주시 장사시설의 설치 및 운영 조례’를 개정 중이다.


이를 위해 시는 다른 지자체를 벤치마킹하고 사전 용역 실시를 검토하는 등 다양한 건립방안을 모색해 왔다.


위원회는 각계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양주시의회 의원, 주민대표, 전문가 등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위원회에서는 건립모델(민간 투자 사업 또는 양주시 재정사업) 및 규모(양주시 단독 사업 또는 인근 지자체와 공동 광역)와 부지선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특히, 건립 후보지(부지)선정은 지역 주민들이 직접 신청하는 공개모집을 통해 주민 의사가 최우선 반영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주민의견 수렴 및 수요조사를 마치는 대로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를 거쳐 2026년 3월 토지보상과 함께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공원화 추진과 인센티브 지원방안도 마련하는 등 주민과 계속 소통할 예정이다.


사업비는 총 1670억 원으로 국도비 141억1000만 원을 제외하고 시가 예산 1528억 원을 자체적으로 부담하거나 인근 지자체와 공동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재정적인 문제도 있지만 입지 선정과정에서 예정 부지 주민들은 화장장을 혐오시설로 보고 적극 반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개발에서 소외된 양주 서.북부 지역 주민들은 화장장 건립이 또다른 읍.면 지역간 갈등으로 확산될 것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은현면에 사는 박모(64) 씨는 "주민들이 납득할 수 있도록 화장장 건립사업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는 시간을 갖는 등 합의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시는 마땅한 적합지가 없을 경우 기존 공설묘지를 재개발하거나 국공유지를 매입해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도 내 화장시설은 수원, 용인, 성남, 화성 등 모두 경기 남부에 위치하고, 경기 동북부 지역에는 없는 상황이다.


경기 동북부 주민들은 원정 화장장을 찾아가는 시간적 손해, 관외 주민에게 적용되는 화장수수료 차별, 화장 예약시 오후시간 배정으로 강제적인 4일장, 5일장을 해야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종합장사시설이 건립될 경우 시간적.경제적 불편이 상당부분 해소될 전망이다.

양주시 장묘문화팀 관계자는 “화장시설 추진과 관련하여 기본방향 이외에는 현재 확정된 게 없다. 건립 모형과 규모, 부지선정, 입지 지역 주민 인센티브 등 모든 사항은 곧 구성될 위원회에서 논의하고 심의할 예정이다”며 “특히 부지선정에 있어 특정 지역을 염두에 둔 추진은 있을 수 없다”고 밝혔다.

오명근 기자 (omk72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