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미래일자리 모델 만들 12개 기업 선정…사업 성과, 청년 일자리 정책 설계에 연계
약자동행, 인구소멸, 환경문제 분야…청년 일자리 정책 새로운 모델 제시
서울시는 현재 운영 중인 청년공간 '서울시 청년허브'를 중심으로 12곳의 기업과 협업해 청년들이 진입 가능한 미래형 일자리 모델을 발굴, 개발하겠다고 7일 밝혔다.
서울시 청년허브는 이같은 내용의 ‘2023년 청년 미래일자리 모델 사업’을 위해 오는 8일 12개 기업과 협약식을 갖는다.
시는 협약식을 맺는 12개 기업에 최대 3000만원을 지원하며, 사업 성과는 서울시 청년 일자리 정책 설계에 연계해서 활용할 계획이다.
청년허브의 미래일자리 모델 사업은 새로운 청년 일자리 모델과 유형을 만드는 구인처(기업·단체)를 지원해 청년 일자리 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지난해에는 ‘미래업’이라는 사업으로 10개 기업 및 단체를 통해, 청년의 미래를 위한 일자리 환경의 개선방안을 연구했다.
이번에 선정된 12개 기업은 ▲노인·취약청소년·은둔고립청년 등 약자와의 동행 ▲인구소멸 지방 문제 해결 ▲기후위기 등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일자리 모델 개발 등 3개 분야에 초점을 두고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약자와 동행하는 일자리 모델 개발은 고립·은둔청년의 치유회복 일자리를 위한 콘텐츠 개발하는 ‘퐁’과 청각장애 청년 일자리 모델을 개발하는 ‘플립’ 등이 함께한다.
인구소멸 지방 문제 해결 일자리 모델 개발은 고향사랑기부제와 연계해 도시-지역이 상생하는 청년 일자리 모델을 만드는 ‘공감만세’와 지역 청년 창업가를 육성하는 ‘멘토리’ 등이 참여한다.
환경문제에 대한 일자리 모델 개발에는 환경 교육과 제로웨이스트 사업을 연계한 청년 일자리를 제안한 ‘노노샵’과 생태환경 교육자를 양성 커리큘럼을 만드는 ‘송포어스’, 비영리 분야 청년 일자리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플랫폼 ‘소셜부스’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