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평택시 출산율 전국 32%, 경기도 평균 23% 대비 높아


입력 2023.09.19 17:52 수정 2023.09.19 17:53        김태호 기자 (thkim@dailian.co.kr)

평택지역 2022년 합계 출산율 1.0명 이상 유지, 전국적 추세와 달리 전년도보다 증가

지자체는 47곳, 인구 50만 명 지자체 중 평택시 유일한 합계 출산율 1.0명 이상 유지해

평택시 합계 출산율 비교 그래프ⓒ평택시 제공

경기 평택시는 전국적인 출산율 감소속에 지역 2022년 출산율은 직전보다 다소 높아져 합계 출산율 1.0명 선을 지켰다고 19일 밝혔다.


국가통계포털에 지난 12일 발표된 '2022년 전국 시군구 합계출산율'에 따르면 전국의 합계출산율은 전년도보다 3.7% 감소한 0.778명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합계출산율은 전년 대비 1.6% 감소한 0.839명으로 기록됐다. 반면, 평택시의 합계출산율은 전년 대비 0.3% 증가한 1028명을 기록했다. 전국 평균 대비 32%, 경기도 평균 대비 23% 높은 수치다.


합계 출산율이란 한 여성이 가임기간인 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로, 한 국가나 사회의 출산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현재의 인구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합계출산율이 2.0명 이상을 기록해야 하지만, 국내 합계출산율은 1984년부터 2.0명 아래로 내려갔고, 2018년에 1.0명보다 낮아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평택시의 2022년 합계출산율은 1.0명 이상을 유지했으며, 전국적 추세와 달리 전년도보다 증가한 특징을 보였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시군구 중 합계출산율이 증가한 지자체는 12곳, 합계출산율이 1.0명 이상인 지자체는 4곳이었지만,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지자체는 평택시뿐이었다.


또한 평택시는 대도시임에도 높은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어 주목된다. 전국적으로 합계출산율이 1.0명 이상을 기록한 지자체는 47곳이지만, 인구 50만 명 이상의 시군구만 봤을 때는 평택시만 유일하게 합계출산율 1.0명 이상을 유지했다.


평택시 관계자는 "고덕국제신도시나 평택지제역 인근 신축 아파트에 젊은 부부들의 이주가 증가하고,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등으로 인해 안정적인 일자리가 창출로 평택지역 사회·환경·복지 정책들이 복합적으로 맞물려 비교적 높은 출산율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정장선 시장은 "전국적으로 출산율 감소속애 지역 출산율이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점은 인구 50만 명 이상인 기초지자체 중 유일하게 합계출산율이 1.0명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며 "시는 부부들이 2세를 계획하고 다자녀까지 출산을 선택할 수 있는정주 여건을 꾸준히 개선해 나가고,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태호 기자 (thki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태호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