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세계 34개 도시 시장 기후변화 대응 논의
도쿄·바르샤바 등 시장단 및 국제기구 관계자 300여 명 참석
도쿄·바르샤바 등 시장단 및 국제기구 관계자 300여 명 참석
서울에서 기후변화 대응에 앞서는 세계 도시와 세계 지방자치단체연합(UCLG), 유엔 해비타트(UN-HABITAT) 등 국제기구 관계자 300여 명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차원의 역할을 논의한다.
서울시와 이클레이(ICLEI) 세계본부가 공동주관하는 이번 ‘2016 기후변화 대응 세계도시 시장포럼’은 오는 9월 1일과 2일 양일간 신청사 다목적홀에서 열릴 예정이며, 국가 간의 협의 도출에 앞서 도시·지방 정부들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전략을 제시·공유하는 자리다.
이번 포럼은 지난해 4월 서울에서 개최된 ‘2015 ICLEI 세계도시 기후환경 총회’ 중 열렸던 ‘세계도시 시장포럼’을 정례화한 것이다. 지난해는 요하네스버그, 몬트리올, 산라파엘, 낭뜨, 파리 등 5개 도시 시장단이 각 도시의 사정에 맞게 수립한 온실가스 감축 실천 방안을 공표했다.
올해는 지난 2015년 12월 파리협정 채택 이후 신기후체제가 개막되면서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 도시·지방정부가 국가 단위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지를 논의한다.
포럼에 참여하는 도시는 서울, 미국 아스펜, 일본 도쿄, 폴란드 바르샤바 등 34개 도시다.
포럼 마지막 날인 2일에는 전체 포럼에서 논의된 주요 메시지를 채택·발표하고 오는 11월 모로코 마라케시에서 열릴 ‘제22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2)’에 전달할 계획이다.
특히 박원순 서울시장은 1일에 있을 ‘기후변화 대응을 실천하는 우수도시’ 사례 발표에서 ‘원전하나줄이기’ 등 서울이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기후변화 대응 정책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포럼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세계도시 간 교류 및 협력을 강화하고 이를 COP22에 전달함으로써 지방정부 역할 증대에 기역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유재룡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이 기후변화 대응의 선도도시로서 세계도시와 지방정부들과의 긴밀한 정보교류와 협력을 통해 성공적인 파리협정 이행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