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미 장관 "광역급행철도망(GTX) 2025년까지 구축"
7일 수도권 전철 급행화 추진방안 제시
수도권 광역급행열차 확대운영 및 GTX 구축
김현미 국토교통부 김현미 장관은 7일 "수도권 광역급행열차를 지속 확대하고, 광역급행철도망(GTX)을 2025년까지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지하철 4호선 오이도역에서 안산선 급행열차 확대운영 시승행사에 참여해 국토부가 추진할 '수도권 전철 급행화 추진방안'을 제시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수도권 통근시간이 평균 1시간 36분에 달하는 등 수도권 교통혼잡 문제가 국민의 가장 큰 걱정거리일 것"이라면서 "앞으로 더 빠르고, 더 편안하고, 더 안전한 고품질의 철도서비스를 국민들이 제공받을 수 있도록 철도 공공성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우선 안산선 등 4개 노선은 비용투자없이 차량운행계획 조정을 통해 급행열차를 확대 운행할 방침이다. 경부선, 분당선, 과천선, 일산선도 대피선 설치 등의 시설개량을 통해 급행열차를 확대한다.
시설개량이 완료되면 경부선은 2020년 상반기부터 급행열차가 34회 더 운행되고, 분당선은 2022년 상반기부터 전 구간이 급행으로 운행되어 21분 단축된다. 과천선과 일산선은 2022년 하반기부터 급행열차가 운행되어 각각 7분씩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수도권의 교통혼잡 등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 철도의 급행화와 함께 수도권 외곽지역과 서울 도심 주요거점을 20분대로 연결하는 신개념의 '고속 광역급행철도망(GTX)'을 2025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광역급행철도망(GTX)은 총 211km로서, 파주와 동탄을 잇는 A노선(83km)과 송도와 마석을 연결하는 B노선(80km), 의정부와 금정을 잇는 C노선(48km) 등 3개 노선을 서울역, 청량리역, 삼성역을 주요 거점으로 해 방사형으로 교차되도록 구축할 계획이다.
A노선은 2018년 전 구간 착공에 들어가 2023년 개통할 예정이다. B노선은 2020년 착공에 들어가 2025년 개통, C노선은 2019년 착공해 2024년 개통할 계획이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망(GTX)이 모두 개통되면, 수도권 통근시간이 최대 80%이상 획기적으로 단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동탄⇄삼성(A)노선 77분→19분(75.3% 감소) ▲송도⇄서울역(B)노선 현재 82분→27분(67.1%감소) ▲의정부⇄삼성(C)노선 73분→13분(82.2% 감소) 등으로 각각 줄어든다.
국토교통부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망 구축사업을 위해 필요한 재원 약 14조원은 민간, 국가, 지자체 등이 분담(민간50%, 국가 35%, 지자체 15%)해 마련하고, 사업추진에 필요한 사업고시 등의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이행해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GTX 수혜지역 확대를 위해 GTX와 연결되는 순환노선의 설치도 검토하는 등 출근시간 단축 효과를 수도권 전 지역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