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용 압출소재 및 단조소재 부품 국산화 등 총 9개사 협력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세아창원특수강과 함께 항공기용 소재 국산화에 나선다.
KAI는 세아창원특수강과 2일 'With Korea Team'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알루미늄, 타이타늄 등 항공기용 압출·단조소재 부품 국산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컨소시엄에는 KAI와 세아창원특수강, 세아항공방산소재 등 총 9개 사가 참여했다.
KAI는 공정기술 개발과 승인 등의 과정을 주관하고, 세아창원특수강은 원소재 생산과 공정 진행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한다.
이번 협약은 급변하는 글로벌 공급망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됐다. 특히, 알루미늄 압출재는 기존 전량 수입에 의존했던 부품으로 소재 국산화 성공 시 공급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을 줄여 최근 유럽·미국 등 글로벌 고객이 요구하는 탄소중립도 충족이 가능하다.
KAI는 2019년 ‘항공소재개발연합’을 발족하고, 첨단 항공소재 국산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군수품뿐 아니라 민항기 기체 부품도 국산화 소재를 적용하고 있따. 현재 알루미늄 압출재와 타이타늄 압연재, 분말 등 항공소재 20종과 기계류, 전장류, 배관류의 표준품 15종 등 총 35종의 국산화가 완료됐다.
KAI 박경은 기체사업부문장은 “국내 항공용 소재 시장은 1조 1,200억 원 규모”라며 “소재부품 국산화를 확대해 수주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