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車보험 온라인 가입 비중 40.7%…대면채널 첫 역전


입력 2022.06.14 12:00 수정 2022.06.14 10:13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자동차보험의 온라인 가입 비중이 처음으로 대면채널을 역전했다.(자료사진)ⓒ연합뉴스

자동차보험의 온라인 가입 비중이 처음으로 대면채널을 역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개발원은 지난해 개인용 자동차보험의 가입대수를 분석한 결과, 인터넷(CM)채널 비중이 40.7%로 대면채널을 0.8%p 차이로 역전했다고 14일 밝혔다. CM 자동차보험 가입이 대면채널을 앞지른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CM을 통한 자동차보험 가입대수는 720만대로 오프라인 채널 706만대 보다 14만대 더 많았다. 텔레마케팅을 통한 가입은 344만대였다. 다만 자동차보험 수입보험료 기준으로는 대면채널 비중이 46.1%로 여전히 CM채널보다 9.9%p 높았다.


보험개발원은 금융산업의 인터넷·모바일 환경 가속화와 가격에 민감한 20~40대 연령층을 중심으로 CM채널 선호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특히 30대의 CM채널 선호도가 61.8%로 최고였고, 20~40대의 CM채널 가입률은 50대 이상 연령층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차종별로 보면 대형차일수록 보험료가 비싸 가격경쟁 수요가 높을 수 있으나, CM채널 가입률은 중형, 소형, 대형 순으로 높게 나타나 차종 요인이 CM채널 선택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개인용 자동차보험 판매 채널별 가입 비중 추이.ⓒ보험개발원

다만, 인터넷으로 보험에 가입할 때에는 가입자 스스로 보장내용을 설계해야 하므로 보장범위 와 특약사항 등 세심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보험료 절감 목적으로 과도하게 보상한도를 축소하거나 담보를 제외할 경우 사고발생시 적정한 보상을 받을 수 없으므로 나에게 적합한 보장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조언이다.


운전자범위는 기명1인, 배우자, 가족, 형제자매 등 외에 지정 1인을 추가하는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 내년 치료비 과실상계 적용에 대비해 자기신체사고 보상한도 상향조정과 고보장상품 선택을 고려하고, 고가차량과의 사고에 대비하여 충분한 대물배상 보상한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높은 물적할증기준금액 선택 시 사고 할증은 적게 받을 수 있으나, 대물배상 및 자기차량손해 담보 보험료가 상승하고 자기차량손해 사고 발생 시 자기부담금 하한액이 높아지는 점에는 유의해야 한다.


이밖에 마일리지나 블랙박스, 첨단안전장치, 서민우대, 자녀할인 특약 등 보험료를 할인받을 수 있는 특약 가입이 누락되지 않았는지 꼼꼼한 확인이 필요하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무보험차상해담보 가입 시 다른 차량 운전 중 사고도 보상되고, 절감된 부품비를 돌려받는 특약 등도 자동 가입되므로 알아두면 유용하다"고 말했다.

부광우 기자 (boo073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