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외국인 투자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2024년부터 영문 공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한다. 이는 우리 자본시장이 외국인인 주주 비중이 상당히 높은 상황임에도 이들에게 충분한 정보가 적시에 제공되지 못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2 한국ESG기준원 우수기업 시상식’에 참석해 이 같이 밝히며 “대규모 상장사를 중심으로 내년부터 준비기간을 거쳐 2024년 영문 공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2024년 부터는 자산 1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작년 기준 93개사), 2026년부터는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작년 기준 234개사)는 영문 공시를 의무적으로 해야 한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유가증권시장 외국인 투자자 주식 보유 비중은 30.7%(시가총액 기준)에 달한다.
김 부위원장은 “외국인등록제, 국내 상장사의 배당절차를 개선함으로써 그간 관성적으로 운영돼 왔던 낡은 제도들을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도록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 기업 경영 투명성 강화를 위해 기관투자자 역할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김 부위원장은 “정부는 한국ESG기준원과 함께 기관투자자가 수탁자로서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한국 스튜어드십 코드의 내실화를 지원하는 한편, 의결권자문사를 통한 기관투자자의 주주권 행사를 지속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2025년부터 적용되는 ESG 공시 단계적 의무화에 대비해 제도를 구체화하고 ESG 평가기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기업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ESG 관련 교육‧컨설팅을 확대하고 정책금융기관의 금융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김 부위원장은 “불투명한 한국 기업지배구조가 여전히 한국 증시 저평가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며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는 우리 경제가 선진 경제로 한 단계 성장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할 이슈”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