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배, 정치권에 '걱정말라' 의사 전달…검찰·국세청 조사상황 보고 받아
녹음 안 되는 변호인 접견 이용해 '옥중 지시' 의혹도
김만배 지인, 경기도청 취업…이성문, 김만배 협박해 23억여원 수수
정영학 녹취록 언론 보도에는 "대선까지 공개되지 않아야"
검찰이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 씨가 김수남 전 검찰총장에게 소개 받은 형사 사건 변호인을 '집사'처럼 활용해 390억 원에 달하는 범죄수익을 은닉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씨는 변호인을 통해 정치권에 '걱정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검찰이나 국세청의 수사·조사 상황도 파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 씨의 범죄 수익 은닉 과정이 상세하게 기술된 32쪽 분량 공소장에는 이같은 과정이 상세히 기술됐다. 김 씨는 지난 2021년 8월 대장동 의혹이 불거지며 수사가 진행될 조짐을 보이자 이른바 '50억 클럽'에도 거론된 김 전 총장을 만나 대응 방법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씨가 김 전 총장에게 검찰 출신 A변호사를 소개받아 그를 '집사'처럼 활용했다는 것이 검찰의 판단이다. 검찰은 지난해 12월 A변호사가 소속된 법무법인을 압수수색하기도 했다.
A변호사는 범죄수익 은닉·처분 상황과 관련해 김 씨와 화천대유 공동대표 이한성 씨, 이사 최우향 씨 사이에서 연락책 역할을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은 변호인 접견의 경우 대화 내용이 녹음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했다고 봤다.
김 씨는 곽상도 전 의원 아들의 퇴직금 50억원 수수, '정영학 녹취록' 검찰 제출 등 소식이 전해지자 대장동 범죄 수익금을 지키기 위해 재빠르게 움직였다. A변호사가 "검찰에 '재산을 유출하지 않는 대신 추징보전을 청구하지 말아 달라'고 요청하겠다"고 했지만 김 씨는 화천대유로부터 500억원을 배당받고, 수원시 일대 농지를 사들였다.
그는 2021년 8월쯤 수원시 오목천동 일대 농지를 살 때는 이른바 '알박기'를 한 뒤 일대 농지 소유주들에게 동의서를 받아 대장동 사업과 같은 방식으로 아파트 신축 등 도시개발사업을 진행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조사됐다.
김 씨는 국세청의 세무조사 가능성도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A변호사에게 서울지방국세청의 동향을 파악해 달라고 부탁한 뒤 조만간 국세청이 조사할 것이라는 정보를 보고받자, 수표를 인출해 농지를 추가로 매입하라고 지시했다.
김 씨는 A변호사를 정치권과의 '소통 창구'로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배임 사건의 공소사실에 거론되지 않은 정진상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이 정영학 녹취록에 등장하는 것과 관련해 2021년 11월∼2022년 1월 사이 A변호사를 통해 '정치권 인사'에 걱정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후 A변호사를 통해 정치권 인사로부터 '캠프에서 잘 챙기니 걱정하지 마라. 정 실장은 절대 출석하지 않을 것'이라는 취지의 의사를 전달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 전 실장은 지난해 1월 비공개 검찰 조사를 받았다. 김 씨는 이 사실이 보도된 후 A변호사에게 수사 상황을 알려달라고 요청했고, 정 전 실장이 검찰에서 자신과 1년에 20회 이상 통화한 사실로 조사받았다는 내용을 보고받았다.
김 씨는 그 무렵 정영학 녹취록이 언론에 보도되자 A변호사와 '20대 대통령 선거 때까지 (녹취록이) 공개되지 않아야 한다'는 취지의 대화도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공소장에는 김 씨의 지인이 지난해 7월 초까지 경기도청에 근무하며 김 씨의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받는 과정에 도움을 줬다는 내용도 언급됐다. 2020년 7월 이재명 당시 경기지사가 신설한 AI산업전략관(2급)에 임명된 이 지인은 평소 '김 씨의 도움으로 이 자리를 얻을 수 있었다'고 주변에 말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 씨의 성균관대 후배이자 측근으로 알려진 화천대유 전 대표이사 이성문 씨의 협박 정황도 공소장에 등장한다. 이 씨는 김 씨 재판에 증인으로 나가기 전 A변호사를 통해 "정영학이 일등 공신인데 서운하게 해서 이런 사태가 났다. 벼랑 끝에 몰면 비밀을 폭로하겠다"고 김 씨를 압박했다.
그 결과 이 씨는 지난해 9월 두 차례에 걸쳐 23억 5000만원을 대여금으로 꾸며 받아낸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