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주총 직후 질의응답…"美 보조금 신청 고민중"
"DDR5 등 첨단 제품 수요 대비 가동률 높이는 중"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은 중국 현지 공장에 반도체 장비를 들여올 수 있도록 추가 신청을 하겠다고 29일 밝혔다.
박 부회장은 이날 오전 경기도 이천시 소재 SK하이닉스 본사에서 열린 제75기 정기주주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이 언급했다.
그는 "두 정부(미국과 한국)간 노력을 해야할 것 같다. 우리는 우리대로 시간을 벌면서 경영계획을 좀 더 변화시킬 것"이라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생길 때까지 시간을 버는 것이 유리하다. 1년 뒤에도 (반도체 장비 중국 수출금지 유예를) 신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미국 상무부는 중국에 반도체 생산 설비를 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는 예외를 적용하고 장비 수입 등을 1년간 허용했다. 이번 조치는 오는 10월 종료돼 기업들이 연장 신청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아울러 미국은 현지에 투자하는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대신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고 있다. 예상 현금흐름 등 수익성 지표를 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산출 방식을 검증할 수 있는 엑셀 파일 형태로 제출하도록 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에 대해 박 부회장은 "패키징(후공정)이어서 전체 수율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그 안에 (전공정)공장을 지어야 하는 입장 보다는 약간 덜 할 수 있지만 그래도 많이 고민해보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SK하이닉스의 미국 투자는 전공정이 아니고 어드밴스트 패키징(Advanced Packaging)이다. (부지 선정 관련) 리뷰가 거의 주 단위로 끝나 진행을 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전체 팹이 아니어서 규모가 크지 않다. HBM 등은 패키징 기술이 중요해졌다. 미국에 기업들이 있다보니 미국을 선정했다"고 말했다.
최근 박 부회장은 인수 회사인 솔리다임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그는 "솔리다임과 고객들을 만났다. 요즈음 서로 어떻게 보고 있냐가 중요하다. 하반기 좋아질지 등을 이야기했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공장 가동률 상향 여부에 대해서는 첨단 제품 위주로 높이고 있다고 했다.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은 "DDR5와 같은 일부 제품들은 수요가 굉장히 타이트한 부분이 있다. HBM 등이 해당한다"고 말했다. 박 부회장은 "DDR5로 전환한다는데 우리가 제일 앞서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낸드가 매출 대비 80%까지 Capex(투자)가 늘어나니까 심하게 보는 회사들은 50% 못가게 컨트롤하고 하고 있다"면서 "그런 부분들에 대해 셋업하는 것"이라고 했다.
한편 박 부회장은 추가 감산 계획 및 솔리다임 회복 시기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