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MBC 제3노조 "한상혁 부인 속한 '여성민우회', 제평위 참가…좌파미디어 세상 만드나"


입력 2023.04.13 20:15 수정 2023.04.13 20:19        김남하 기자 (skagk1234@dailian.co.kr)

"한상혁, 부인이 군포여성민우회 공동대표로 월 70만원 활동비 받는데도…부정하게 공제 신청"

"여성민우회·전미협, 한상혁의 민언련 주도 네트워크서 활동…좌파 인사·미디어단체들 모두 연결"

"좌파미디어단체들 극성, 지자체 예산과 국민세금 지원받아 세력 확장하려고 하루도 쉬지 않아"

"정치적 중립성 담보 못하고 공정하지 못한 제평위, 해체하라…구글처럼 뉴스편집·배열 하지 마라"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MBC 내 비(非)민주노총 계열인 MBC노동조합(제3노조)은 과거 부당 소득공제를 받아 논란에 휩싸였던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의 부인이 속해 있는 여성민우회가 최근 뉴스제휴평가심의위원회(제평위)에 참가한 것과 관련해 "한상혁 방통위원장이 현직에 있는 상황에서 네이버·카카오가 제휴평가심의위원회에 한국여성민우회를 참가시키기로 하는 일이 발생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좌파 인사와 미디어단체들은 한 사람 건너, 한 단체 건너면 모두 연결되어 있다"며 "그러한 사람들이 이름만 달리해 2중 3중으로 네이버·카카오 제평위에 들어가 좌파 미디어 세상을 만들고 있다"고 비난했다.


제3노조는 13일 '한상혁 위원장 부인이 지역여성민우회 대표…그리고 네이버 입성'이라는 제하의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인사청문회를 할 당시 그 부인이 군포여성민우회 공동대표로 매달 70만원 씩 활동비를 받는데도 배우자 공제를 부정하게 중복 신청했다는 점이 지적된 적이 있다. 한 위원장은 민주언론시민연합의 공동대표였고, 부인은 군포여성민우회의 공동대표였다"고 전했다.


이들은 "여성민우회와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미디어개혁시민네트워크 활동을 함께 했는데 이 미디어개혁시민네트워크를 주도한 단체는 민주언론시민연합이었다. 한 위원장은 2019년 8월까지 민언련 공동대표와 이사를 맡은 바 있다"며 "좌파 인사와 미디어단체들은 이렇게 한 사람 건너, 한 단체 건너 모두 연결되어 있다. 그러한 사람들이 이름만 달리하여 2중 3중으로 네이버·카카오 제평위에 들어가 좌파 미디어 세상을 만들고 있다"고 힐난했다.


ⓒMBC노동조합 제공

제3노조는 "이번에 네이버·카카오 제평위에 가입하는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를 보면, 이사 중에는 윤혜숙 성남미디어센터 과장이라는 인물이 있다. 성남미디어센터는 성남문화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데 성남문화재단은 성남시가 출자한 문화재단이다. 이재명 시장이 있을 때 활발히 활동했던 인물이다"며 "또 이사장을 맡고 있는 변해원 원주영상미디어센터장의 경우 원주시로부터 미디어센터 공간과 방송장비를 지원받고 있다. 원주시가 직접 조례를 만들어 미디어센터를 지원해주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다른 미디어센터들도 구청이나 시청의 지원을 받아 장소와 방송장비를 마련하여 회비를 받아 운영하는 곳이 많다. 상당수가 민주당 지자체장이나 시군구의회의 도움을 받아 사업을 따온다든지 아예 지자체 예산으로 운영되는 구조이다"며 "이들을 굳이 민간미디어단체라고 보고 그들도 미디어 역할을 한다면서 네이버·카카오의 뉴스제휴평가심의위원으로 초빙해야 하는가. 방통위가 운영하는 시청자미디어재단도 똑같은 일을 하는데 이들도 제휴평가심의단체가 돼야 하는가"라고 꼬집었다.


이들은 "좌파미디어단체들은 극성이다. 세력을 확장하기 위해 하루도 쉬지 않는다. 그렇게 해서 지자체 예산과 국민 세금을 지원받아 먹고살 기반을 마련한다"며 "반면 우파는 미디어활동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미디어 학원을 찾아가 돈을 내고 영상편집과 촬영을 배우는 구조를 선호한다. 시장에 맡겨 일자리를 늘리고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재정적으로 궁핍한 시민들을 위해서는 고용노동부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일괄지원하도록 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정인이 미디어센터, 미디어운동이라는 탈을 쓰고 학원의 영역을 부당하게 빼앗아가거나 좌편향된 시각으로 진행되는 미디어독해 교육사업을 공공재원으로 충당하는 일은 불공정하다"며 "결론적으로 여성민우회는 한상혁 방통위원장이나 민언련과 인적으로도 긴밀히 연관되어 있고, 전미협은 민간 미디어교육 시장을 침탈하는 사실상 지자체 운영 단체들이다. 이들이 무슨 명목으로 네이버·카카오의 뉴스 제휴를 평가하고 심의하는가"라고 비판했다.


제3노조는 "이처럼 정치적중립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공정하지도 않은 네이버·카카오 제평위라면 차라리 해체하고 구글처럼 뉴스 편집과 배열을 안 하도록 하는 것이 낫다"고 강조했다.

김남하 기자 (skagk1234@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