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보호대상 ‘제주 남방큰돌고래’ 개체수 증가…117마리 관찰돼


입력 2018.01.23 14:19 수정 2018.01.23 14:20        이소희 기자

수산과학원, 제주 연안 남방큰돌고래 개체 수 5년간 약 13마리 증가 확인

수산과학원, 제주 연안 남방큰돌고래 개체 수 5년간 약 13마리 증가 확인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는 작년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 총 117마리가 관찰돼, 최근 5년 사이 13마리 정도가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고 23일 밝혔다.

무리지어 유영하는 남방큰돌고래들. ⓒ해수부

수산과학원에 따르면, 고래연구센터에서는 남방큰돌고래를 관리하고 연구하기 위해 2007년부터 생태조사를 실시해 왔지만 한동안 남방큰돌고래 숫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2008년부터 2010년 사이에 약 22마리가 그물에 걸려 혼획된 후 폐사하거나 불법 생포된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2008년에는 124마리에서 2010년에는 105마리로 2012년에는 104마리로 개체수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었다.

이후 고래연구센터는 작년 3월부터 12월까지 제주도 연안에서 남방큰돌고래 분포현황 및 개체 수 추정을 위한 조사를 5차례 실시했다.

우선 남방큰돌고래 무리를 발견하면 소형선박을 이용해 접근한 뒤 개체식별이 가능한 등지느러미 부분을 중심으로 촬영을 진행했으며, 이 사진을 이용해 ‘표지재포획법’으로 개체수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표지재포획법은 인공적인 표지를 대상 동물의 몸에 부착하여 표시하거나 얼굴형태와 등지느러미 상처와 같이 개체별 고유의 자연 표지(natural marker)를 통해 개체를 식별하고 이후 재발견을 통해 개체수를 간접 추정하는 방법이다.

해양수산부는 남방큰돌고래 자원 회복을 위해 2012년 6월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개정해 제주 남방큰돌고래를 보호대상해양생물로 지정한 바 있다.

또한 불법 생포된 후 수족관에서 사육되고 있던 제돌이와 태산·복순이, 대포·금등이 등 남방큰돌고래 7마리를 야생으로 방류하는 등 적극적인 보호대책을 펼쳐왔다.

이 같은 정부의 적극적인 보호대책 추진에 동참해 지역 어업인들의 자발적인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제주지역 어업인들이 조업 중 살아 있는 상태로 혼획된 돌고래를 발견한 경우 현장에서 즉시 방류해 더 이상의 불법적인 생포 행위가 발생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남방큰돌고래 자원이 차츰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영민 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남방큰돌고래에 대한 관리 및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돌고래 혼획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좌초된 돌고래의 사인을 밝혀 위험요소를 줄여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소희 기자 (aswit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소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