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도시형생활주택 인기 '뚝'…아파트에 치이고, 오피스텔이 차이고


입력 2018.08.20 06:00 수정 2018.08.19 21:39        권이상 기자

최근 3개월 내 청약실시한 도시형 생활주택 5곳 모두 미달

한 때 수익형 상품으로 각광 받았지만, 최근 공급 줄고 수요도 줄어

부동산 시장에서 한 자리를 꿰차고 있던 도시형 생활주택의 존재가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의 연립주택 모습.(자료사진) ⓒ권이상 기자 부동산 시장에서 한 자리를 꿰차고 있던 도시형 생활주택의 존재가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의 연립주택 모습.(자료사진) ⓒ권이상 기자


급증하는 1~2인 가구에게 각광을 받던 도시형 생활주택이 부동산 시장에서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최근 분양한 도시형 생활주택이 모두 청약에서 미달되는 사태를 맞고 있다. 인기가 줄어드니 공급도 크게 감소하고 있다.

이는 아파트보다 재산 가치가 떨어지고, 오피스텔보다 주차장 등 부대시설이 부족한 탓이 크다.

업계에서는 최근 도시형 생활주택의 인기가 하락하며 사업에서 손을 떼는 건설사들이 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이는 몇해전까지만해도 중견사들이 60만 가구를 쏟아내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서민과 1~2인 가구의 주거 안정을 위해 지난 2009년 5월부터 시행된 주거 형태다. 도시형 생활주택에는 단지형 연립주택,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 3종류가 있으며, 국민주택 규모의 300가구 미만으로 구성된다.

20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부동산 시장에서 한 자리를 꿰차고 있던 도시형 생활주택의 존재가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 실시된 인터넷 청약에서는 수요자들에게 외면 받는 등 도시형 생활주택 분양 소식도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실제 금융결제원 집계를 보면 지난 5~7월 분양한 도시형 생활주택 5곳은 모두 미달된 상태로 청약을 마감했다.

이 기간 분양한 도시형 생활주택은 ▲대전시 서대전 네거리역(214가구) ▲부산시 서면 스윗팰리스(63가구) ▲서울시 성내동 주함해븐빌(80가구) ▲경기도 의정부역 코아루퍼스트원(298가구) ▲대구시 중앙시티라이프(84가구) 등이다.

이 가운데 서울 성내동 주함해븐빌이 유일하게 14건의 청약접수를 기록하며 청약건수 두자릿수를 기록했고, 나머지 곳들은 접수건수가 한 자리수에 머물렀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별도의 자격요건이나 청약통장이 필요치 않고, 아파트나 오피스텔에 비해 저렴한 게 장점이다.

이 때문에 지난해만해도 임대수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공급도 끊기고 청약에서도 고전을 이어가고 있다.

도시형 생활주택이 실수요자는 물론 투자자들에게 외면을 받기 시작한 가장 큰 이유는 아파트와 오피스텔보다 생활하기 불편하다는 점이다.

정부는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활성화를 위해 주차장 설치와 건물 간격 등의 기준을 완화했다. 그러나 이는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주차장이 모자르거나, 일조권 및 사생활 침해 논란 등을 일으켰다.

또 도시형 생활주택의 90%가량이 지진 발생에 취약한 필로티 구조로 돼 있어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도시형 생활주택의 경우 아파트와 오피스텔과 달리 인터넷 청약실시가 의무화되지 않아 실제 분양에 고전을 겪고 있는 곳들은 더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선호도가 떨어지면서 법원 경매로 나오는 도시형생활주택이 급증하고 있다. 저금리로 법원 경매 물건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줄었지만 경매에 부쳐지는 도시형생활주택은 계속 늘고 있다.

법원경매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2015년 953건이었던 전국 도시형생활주택 법원 경매 진행 건수는 이듬해 1428건, 2017년 1594건으로 급증했다. 올해도 5월 기준으로 716건에 부쳐졌다. 전년 같은 기간 경매 진행 건수(661건)를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서민을 위한 주택인만큼 정부가 도시형 생활주택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아무리 서민을 위한 저렴한 주택이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생활 수준과 안전을 보장 받을 수 있도록 해야 도시형 생활주택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며 “주택공급 규모를 맞추기 위해 무턱대고 허가를 내주기보다는 지역 내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한 안전 수요 파악 및 점검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이상 기자 (kwonsg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권이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