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법원 "1층 주민에게 똑같은 승강기 교체비용 부당"


입력 2020.01.12 11:50 수정 2020.01.12 11:50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아파트 엘레베이터 모습(자료사진). 연합뉴스


승강기를 쓸 일이 없는 아파트 1층 주민이 노후 승강기 교체에 드는 비용을 똑같이 부담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서울남부지법 민사17단독(이광열 판사)은 서울 양천구의 한 아파트 1층 주민 조모씨가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와 관리사무소 등을 상대로 낸 장기수선충당금 균등부과처분 취소소송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고 12일 밝혔다.


법원은 "승강기가 공용 부분인 점을 고려해도 승강기를 이용하지 않으니 장기수선충당금을 균등 부과하는 것이 부당하다는 (조씨의) 주장은 상당한 설득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아파트는 지하주차장이 없기 때문에 1층 입주자가 승강기를 이용한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며 “이런 사정을 충분히 고려해 부담 비율을 결정했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해당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는 1994년 준공 당시 설치된 낡은 승강기를 교체하기 위해 주민 299가구가 부담하는 장기수선충당금을 5년간 인상해 비용을 마련하기로 했다. 그러면서 승강기를 자주 이용하지 않는 1·2층 주민 48가구에게도 균등하게 인상분을 부과해야 할지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를 전 입주민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전체 299가구 주민 중 설문에 응한 262가구의 절반을 넘는 142가구가 '균등부과' 안을 선택했고, 120가구는 1·2층 주민을 장기수선충당금 인상 대상에서 제외하거나 적어도 인상률을 달리 적용해야 한다는 답변을 했다. 해당 아파트의 3층 이상 주민이 251가구인 점을 고려하면 3층 이상 주민 중 상당수도 '차등 적용' 안에 동의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입주자대표회의는 '균등 부과'가 과반으로 나온 설문 결과를 근거로 지난해 5월부터 1·2층 주민 48가구에게도 다른 주민과 동일하게 장기수선충당금을 2만원에서 5만원으로 인상해 부과했다. 이에 1·2층 주민들은 이러한 조치가 부당하다고 반발했고, 원고인 조씨 외에도 1·2층 주민 43가구가 조씨의 소송 취지에 동의하는 확인서를 제출했다.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