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2019년 국가온실가스 배출량 전년대비 3.5% 감소


입력 2021.12.31 09:51 수정 2021.12.31 09:51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7억137만t↓…도로수송·비금속은 증가

2019년 기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 ⓒ환경부

환경부는 지난 2019년 국가온실가스 배출량이 전년대비 3.5%(7억137만t) 감소했다고 31일 밝혔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2019년 발전·열생산 분야에서 1961만t(7.3%) 감소했다. 오존층파과물질(ODS) 대체물질 사용부문에서도 250만t(28.3%), 가정 219만t(6.5%) 감소했다.


반면 도로수송은 전년대비 275만t(2.9%) 증가했고 비금속도 113만t(10.2%) 늘었다.


에너지 분야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87.2%에 해당하는 6억1150만t으로 전년보다 2107만t(3.3%) 감소했다.


발전‧열생산 부문은 전력수요 감소에 따른 발전량 감소(1.3%)와 미세먼지 대책에 따른 석탄화력 발전량 감소(4.8%) 등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2018년보다 1961만t(7.3%) 줄었다.


제조업·건설업은 2018년보다 44만t 감소(0.2%)했다. 항목별로는 비금속 113만t(10.2%), 화학 41만t(0.9%) 증가한 반면, 철강 6만t(0.1%), 비철금속 13만t(4.4%), 기타 179만t(5.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송 부문은 국제 유가 및 국내 유류 판매가의 하락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8년보다 289만t(2.9%) 늘었다.


가정·상업‧공공 부문은 난방용 연료 소비가 줄어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8년보다 311만t(5.6%) 감소했다.


산업공정 분야 2019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7.4%에 해당하는 5199만t으로, 전년보다 6.8% 줄었다.


광물산업 부문에서 10만t(0.3%) 증가한 반면, 화학산업과 금속산업 부문에서 각각 2만t(2.6%)과 6만t(23.8%) 감소했다.


불소계 온실가스는 오존층파괴물질 대체물질 사용과 반도체‧액정 생산 항목 등에서 소비감소로 2018년보다 381만t(19.5%) 줄었다.


농업 부문은 국가 총배출량의 3.0%에 해당하는 2096만t으로, 전년보다 17만t(0.8%) 감소했다.


세부적으로는 장내발효 12만t(2.6%), 농경지토양 9만t(1.6%), 작물잔사소각 0.1만t(6.6%)이 늘고 벼재배에서 34만t(5.4%), 가축분뇨에서 4만t(0.8%) 감소했다.


폐기물 분야는 국가 총배출량의 2.4%에 해당하는 1691만t을 차지했다. 전년보다 63만t(3.6%) 줄어든 수치다. 하·폐수처리 8만t(4.3%), 기타 6만t(7.8%) 늘고 소각에서 66만t(9.3%), 매립 11만t(1.3%) 감소했다.


국내 6대 온실가스별 비중은 이산화탄소(CO2)가 91.8%로 가장 높으며, 메탄(CH4) 3.9%, 아산화질소(N2O) 2%, 수소불화탄소(HFCs) 1%, 육불화황(SF6) 0.8%, 과불화탄소(PFCs) 0.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