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공연장들...무너진 시장, 회복은 시기상조"
지원 확대·공연장 등록 조건 완화 필요
뮤지컬, 클래식 심지어 대중음악 콘서트마저 코로나19 수준을 회복하고 있다는 기분 좋은 소식이 잇따라 들리는 와중에 유독 인디 음악계에서만 여전히 짙은 한숨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들은 “인디씬의 특성상 한 번 무너진 시장을 회복하기 쉽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국내 최대 티켓 예매 플랫폼 인터파크에 따르면 올해 2분기(4월~6월)에 개최되는 콘서트 공연의 판매금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267% 증가했다. 또한 2분기에 개최되는 콘서트 상품 개수도 지난해 246개에서 올해는 353개로 43.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콘서트 개수가 43.5% 증가한 것과 비교해 판매금액이 267%까지 증가할 수 있었던 것은, 객석 띄어앉기나 인원 제한 등의 방역 지침이 없어지면서 공연 회당 수용 가능 관객수가 대폭 증가한 것에 따른 현상이다. 인기 공연들은 매진되는 경우도 많았다. 하반기에도 많은 콘서트가 예정되어 있는 만큼 코로나19 이전의 수준을 훌쩍 넘어설 거란 예측이 나온다.
하지만 인디씬의 사정은 다르다. 한 홍대 공연장 관계자는 “지난해에 비해 홍대에도 조금씩 활기가 돌고 있다. 그렇다고 코로나19 이전의 수준을 회복한다는 건 시기상조”라며 “팬데믹 기간 동안 워낙 피해가 컸고, 신인 밴드를 발굴해야할 소규모 공연장들이 그 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황들이 오면서 기반에 균열이 생겼다. 지금은 그 기반을 다시 다져야 할 때”라고 하소연했다.
‘공연계의 메카’로 불렸던 홍대 공연장들은 팬데믹 초기 반복되는 공연 취소와 연기 등 시시각각 변하는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운영에 큰 타격을 입었다. 오프라인 공연 불가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됐던 온라인 공연도 예산의 문제로 인디씬에선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와 라이브클럽협동조합에 따르면 홍대의 대표적인 공연장인 하나투어 브이홀과 인디라이브클럽의 상징인 DGBD(구 드럭), 객석 500석 규모의 무브홀을 비롯해 살롱 노마드, 달콤한 음악실, 퀸라이브홀, 에반스라운지 등 라이브 공연장 10여 곳이 팬데믹 기간 줄줄이 폐업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인디씬의 회복을 위해선 제도적인 지원과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디씬과 케이팝은 결코 동떨어진 문화로 보기 어렵다. 현재 국내외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밴드 혁오나 잔나비, 볼빨간사춘기 등도 인디에서 출발해 케이팝과의 경계를 허문 스타들이다.
이 관계자는 “케이팝에 대한 지원도 중요하지만, 그만큼 케이팝의 근간이 되는 인디씬에 대한 지원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면서 “소규모 공연장 지원 사업의 수혜 범위를 넓히는 등 공연장이 없어 무대에 서지 못했던 음악인들이 다시 일어설 기회를 많이 제공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공연장 등록 조건 완화도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음레협에 따르면 서울 소재 공연장 90여 곳 가운데 70%이상이 일반음식점으로 등록해 영업을 이어오고 있다. 이런 소규모 공연장의 경우 객석이 30석 내외로, 티켓 판매 수익만으론 사실상 공연장을 운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때문에 술을 팔아 공연장 운영비용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시설물을 일반음식점으로 등록해야 한다.
하지만 이번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공연 관계자들은 임시방편 성격의 규정 대신 라이브클럽의 고유한 특성을 제대로 반영한 규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 관계자는 “이번 코로나19를 계기로 일부 미등록 공연장들이 지원을 받기 위해서 공연장으로 등록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하지만 이는 임시방편일 뿐이다. 정부에서도 라이브 클럽의 특성과 색깔을 이해하고 공감해줬으면 한다. 라이브 클럽을 위한 공연장 등록 조건을 마련해 일반음식점으로 등록된 소규모 공연장들이 정식 공연장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