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 2세 여왕 서거 이후 뉴질랜드, 호주 등 기존 영국 연방 국가들 사이에서 공화국으로의 전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공화국 전환과 관련한 질문에 "결국 (그것이) 뉴질랜드가 향해야 할 길이라고 믿는다"라고 밝혔다.
다만 아던 총리는 "긴급한 의제가 아닌 만큼 단기적 조치가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영연방은 영국을 비롯해 과거 영국의 식민지였던 독립국 56개국으로 구성된 연합체를 의미한다. 뉴질랜드는 호주와 함께 영국 국왕을 국가원수로 인정하는 14개국 영연방 국가 가운데 하나다.
대표적인 영연방 국가 중 하나인 호주 내에서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서거 이후 공화국 전환 논쟁이 시작됐다.
앤서니 알바니스 호주 총리가 자신의 임기 내 공화국 전환을 위한 국민투표 실시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정치권을 중심으로 이견이 나오고 있다.
가디언에 따르면 호주 연방의회의 제3당인 녹색당의 애덤 밴트 대표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서거 당일 SNS에 "호주는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우리는 원주민들과의 조약이 필요하며 공화국이 돼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영국 국왕을 국가 원수로 삼는 카리브해 섬나라 앤티가 바부다가 3년 내 공화국 전환에 대한 국민 투표를 하겠다고 밝힌데 이어, 영연방 국가들 내에서도 관련 논쟁이 불거지자 앞으로 공화국 전환을 향한 목소리가 더욱 거세질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