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석유공사, UAE서 생산한 원유 36만배럴 국내 반입…정제 후 시장 유통


입력 2022.10.12 14:44 수정 2022.10.12 14:45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석유수급 위기 지속 가정해 원유도입 능력 점검

한국석유공사가 UAE에서 생산한 원유 수송에 이용되는 C. GLORY 호.ⓒ한국석유공사

한국석유공사가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생산한 원유 36만2000배럴을 국내로 들여왔다.


석유공사는 12일 공사가 지난 9월 UAE 현지에서 생산해 국내로 선적했던 원유 36만2000배럴이 국내에 무사히 도착해 하역작업을 마쳤다고 밝혔다.


공사는 글로벌 석유수급 불균형 상황의 악화로 인해 국내 원유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가정, 올 여름부터 공사가 해외에서 직접 생산한 원유를 실제 국내에 들여오는 작업을 준비해 왔다.


공사는 이번 원유 직도입 실행이 유사 시 국가 에너지안보 확립태세를 재점검하는 동시에 해외 생산원유 직도입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완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직도입을 통해 국내에 들여 온 원유는 석유공사 자회사인 카독(KADOC)이 4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UAE 할리바 광구에서 생산한 머반유(Murban Crude)다.


공사가 싱가폴 현물시장을 통해 SK에너지에 판매한 해당 물량을 SK에너지가 UAE에서 선적해 국내로 운송하는 방식으로 들여왔다.


지난 9월 10일 UAE 제벨 다나(Jebel dahnna) 항에서 선적된 해당 머반유는 약 30여일 간 약 1만1000㎞의운송거리를 거쳐 지난 6일 SK에너지 울산 콤플렉스에 도착했다.


하역작업 완료 후 정제과정을 거쳐 국내 제품유 시장에 최종 유통된다.


임종찬 석유공사 해외사업 1처장은 "국내 산업부문을 포함해 국가 에너지안보에 미치는 석유자원의 영향력은 절대 간과될 수 없는 사안"이라며 "유사 시 해외 자원개발을 통해 확보한 원유를 신속하게 국내에 도입해 국가와 국민의 안녕을 담보하는 것은 공사의 핵심적 기능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한편 공사는 올해 6월말 기준 총 1억4600만배럴 용량의 비축기지 저장시설에 약 9650만배럴의 원유와 제품유를 비축하고 있다.


공사의 비축량은 외부로부터 일체 국내 원유공급이 중단된 상황에도 국제에너지기구(IEA) 기준으로 한국이 약 111일을 버틸 수 있는 물량에 해당한다.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