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해수부, 해양수산 수출추진기획단 구성…시장 선제 대응


입력 2023.02.13 15:08 수정 2023.02.13 15:08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송상근 차관 단장…민관 합동 연구

해양수산부 전경. ⓒ데일리안 DB

해양수산부는 최근 글로벌 긴축 기조에 따른 해양수산 분야 수출 여건 악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민관합동 ‘해양수산 수출추진기획단’을 구성했다고 13일 밝혔다.


기획단은 송상근 해양수산부 차관이 단장을 맡았다. 해양수산 전 분야 수출현황을 점검하고, 분야별 수출 확대 전략을 마련한다.


기획단 구성을 통해 해수부는 해운물류, 수산식품 등 기존 주력 수출 분야뿐만 아니라 해외항만 수주, 해양관광객 유치에 이르기까지 해양수산 상품·서비스 수출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해수부에 따르면 지난해 해양수산 분야 수출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였다. 글로벌 해운 시장 호황과 HMM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 확보 등이 결합한 결과다. 해운 서비스 수출액은 383억 달러를 달성했고, 김·참치 등 효자 품목 인기에 힘입어 수산식품 수출은 전년대비 11.8% 상승한 31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해수부는 “세계경기 둔화로 인해 올해는 수출 여건이 녹록하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라며 “지난해 하반기부터 해운 시장은 본격적인 조정 국면에 진입했고, 수요 둔화로 인해 수산식품 수출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이에 해수부는 수출 동력을 이어가기 위해 분야별 업계 애로사항 해소, 투·융자 유치, 기업 판로 확보 등을 전담할 기획단을 구성하게 됐다.


기획단은 해운물류·수산식품·항만투자·해양관광 등 4개 실무반으로 구성했다. 국적선사 경영안정과 수출입 물류 지원, 수산식품 해외시장 진출, 해외항만 수주 확대, 크루즈 선사 국내 기항 유치 등을 위한 방안을 민간과 함께 모색할 예정이다.


국내 수출입 물량 99.7%가 해상운송으로 이루어지는 만큼 국내 제조업체 수출입 물류에 어려움이 없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할 계획이다.


기획단 회의는 분기별 1회 이상 개최할 예정이다. 반별 수시 회의를 통해 발굴된 규제개선, 판로개척 지원 관련 과제를 본격 논의한다.


송상근 해양수산부 차관은 “우리 수산식품을 비롯해 해운, 항만, 해양관광 등 해양수산 분야가 우리나라 국제수지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