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까지 수소버스 700대 보급
환경부는 22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국토교통부, 인천광역시, 현대자동차,SK E&S와 함께 ‘인천 수소버스 선도도시 조성 실시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민관이 힘을 합쳐 올해 안으로 인천시에 수소 버스 200대를 보급하고, 2024년까지 총 700대를 보급하기 위해 마련됐다.
환경부는 “올해 인천시 수소버스 전환 계획은 전국 최대 규모”라며 “인천시는 지역 내에 운영 예정인 세계 최대규모 액화수소 생산 플랜트와 충전소를 기반으로 수소버스 보급을 본격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3월 인천시와 ‘수소 대중교통 선도도시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해 2030년까지 인천시 시내버스 2000여 대를 수소버스로 전환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추진해 왔다.
현재 인천시에는 1514대 수소차가 보급됐다. 수소충전소는 7곳을 운영 중이고, 7곳을 추가로 구축 중이다.
특히, 국내 최초로 지난달 수소 고상버스(광역버스) 4대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인천시는 수소버스 등 대형 상용차를 충전할 수 있는 수소 충전소는 연말까지 총 8곳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 가운데 2곳은 액화 방식으로 수소를 저장·운송해 기체수소 충전소보다 효율성과 안정성이 높은 액화수소 충전소로 운영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협약 이후 ‘2023 인천 액화수소 토론회(포럼)’를 개최해 수소 이동 수단(모빌리티) 확산을 위한 정부 정책방향, 운수사업자 실제 수소버스 도입사례 등을 공유했다.
금한승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인천시 대규모 수소 버스 전환 사례가 전국적으로 확산해 수소 이동 수단 보급 동력이 되기를 바란다”며 “수소버스 보급으로 탄소중립을 달성함과 동시에 국민에게 깨끗하고 건강한 출퇴근길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책지원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