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수능시행기본계획과 달리
6월 모의평가에 또 킬러문항 등장"
대통령실은 20일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부터 이른바 '킬러 문항'을 제외하기로 한 데 대해 "이미 3개월 전 예고했던 내용"이라고 밝혔다.
교육부가 올해 수능 시행 기본 계획을 발표하면서 공교육 교과 과정에서 문제를 출제하겠다고 이미 밝힌 바 있다는 취지다.
20일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대통령실 관계자는 교육부의 계획 발표에도 불구하고 "6월 모의평가에 또다시 킬러 문항이 등장했다"며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해당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원칙을 바로잡으려 하는 것이라며 "윤 대통령의 언급은 '갑툭튀(갑자기 툭 튀어나옴)'가 전혀 아니었다. 기존 원칙을 재확인한 차원"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수능 출제를 맡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3월 28일 발표한 시행 계획에서 "학생들이 학교 교육을 충실히 받고 EBS 연계 교재와 강의로 보완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를 갖춘 문항을 출제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특히 "학교 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출제할 것"이라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최근 여러 해석을 낳은 윤 대통령 발언 역시 평가원 가이드라인과 일맥상통한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인 셈이다.
다만 윤 대통령 메시지를 뭉뚱그려 전달하는 과정에서 혼선이 빚어졌다는 평가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15일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이) 학교 수업만 열심히 따라 가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출제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해당 발언 내용이 전해지자 교육계에선 '쉬운 수능' 가능성이 대두됐다.
이에 대통령실은 "공교육 교과 과정에서 다루지 않은 분야의 문제는 수능 출제에서 배제해야 한다"는 표현으로 이 부총리 브리핑을 정정했다.
한편 교육부는 이번 방침과 별개로 '2028학년도 대입 제도 개선 방안' 시안을 다음 달 초중순께 발표하고, 내년 2월 확정할 예정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입 제도 개선 방안도 사교육 경감과 공교육 정상화 등을 목표로 할 것"이라며 "교육개혁 노력을 흔들고 불필요하게 수험생과 학부모의 불안을 조장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