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용인평택·천안아산·청주·새만금·구미포항·울산 특화단지 지정…민간투자 614조원 추진


입력 2023.07.20 16:30 수정 2023.07.20 16:30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8개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선정…올해 540억 지원

하반기 특화단지별 맞춤형 세부 육성계획 마련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안).ⓒ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용인평택·천안아산·청주·새만금·구미·포항·울산 등 7개 지역을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하고 2042년까지 민간투자 총 614조원을 뒷받침한다. 또 8곳의 '국가첨단전략산업 특성화대학'을 선정하고 올해 총 54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국무총리주재 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선정 후보 지역안을 심의 결정했다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특화단지에는 총 21개 지역이 신청했다. ▲선도기업 유무 ▲신규투자 계획 ▲산업 생태계 발전 가능성 ▲지역균형발전 등을 중점적으로 평가해 7곳을 지정했다.


우선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의 육성을 위해 대규모 민간 투자가 예정된 용인·평택 지역을 첨단 반도체 특화단지로 지정했다. 이 지역에는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가 총 562조원의 투자 계획을 세워 놓은 상황이다. 이와 함께 현재 가동 중인 이천·화성 생산단지와 연계해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경북 구미는 반도체 핵심 소재인 웨이퍼·기판 등의 대규모 생산라인 확대를 위해 SK실트론, LG이노텍, 원익큐엔씨가 총 4조70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반도체 공급망과 경제안보 확보가 가능하다는 점을 높이 평가해 특화 단지로 선정됐다.


디스플레이 분야는 충남 천안·아산이 지정됐다. 생산과 연구개발(R&D) 관련 삼성디스플레이의 대규모 투자를 바탕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초격차 달성을 위한 생산과 혁신 거점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이차전지는 광물가공-소재-셀-재활용으로 이어지는 국내 밸류체인 완결을 위해 총 4개 지역이 선정됐다. 우선 전북 새만금은 광물가공과 재활용을 담당한다. 양극제 원가의 70%를 차지하는 전구체와 리사이클링 등 배터리 핵심광물 가공, 국내 공급망 강화를 위한 집적단지를 신규 조성할 계획이다.


소재는 경북 포항에서 담당한다. 배터리의 핵심소재인 양극제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국내 최대 규모 이차전지 양극재 생산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셀은 국내 최대 규모 배터리 생산을 기반으로 차세대 이차전지 선도를 위한 혁신 역량을 집적화하기 위해 충북 청주가 지정됐다. 울산은 LFP 전지 생산기반 마련, 전고체 전지 개발 등 미래 배터리 수요에 대응한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맡게 됐다.


산업부는 이번에 지정된 특화단지에 민간투자가 적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허가 신속처리 ▲킬러규제 혁파 ▲세제·예산 지원 ▲용적률 완화 ▲전력·용수 등 기반시설을 포함한 맞춤형 패키지를 지원한다.


올해 하반기에는 ▲특화단지별로 맞춤형 세부 육성계획을 마련 ▲산·학·연 협력과 기업 애로 해소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범부처 지원 협의체'도 구축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에 지정된 8곳의 국가첨단전략산업 특성화대학(서울대·성균관대·명지대-호서대·경북대·고려대(세종)·부산대·전북대-전남대·충북대-충남대-한기대)에는 ▲융복합 교육과정 설계 ▲우수교원 확보 ▲실습 및 교육환경 구축 등을 위해 올해 총 540억원이 지원된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와 특성화대학을 지정하여 초격차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