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2024년 제1차모빌리티용 수소 수급 협의체 회의를 개최해 올해 수소버스 보급 확대에 대비한 수송용 수소 수급 상황을 점검했다.
차질 없는 수소 수급을 위해 정부, 지방자치단체, 업계간 상호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에서 환경부는 수소버스 누적 2700대 등 올해 수소차 보급 및 충전소 구축 계획, 지자체는 지역별 수소버스 보급 상세계획과 버스 충전방안, 국토부는 수소버스 연료 보조금 확대 방안 등을 공유했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수소버스 등 수소차 보급 목표 기준으로 올해 수송용 수소 수요량을 약 1만5000t으로 전망했다. 관련 업계에 차질없는 수소공급을 당부했으며, 수급 관리 강화를 위해 수송용 수소유통전담기관으로 새롭게 지정된 한국석유관리원은 수소운반차량 지원 등 2024년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또 수소공급기업들은 액화플랜트 등 신규 가동예정 설비의 수소공급 계획, 주요 충전소 운영사는 액화수소 충전소·대용량 기체수소 충전소 등 버스용 수소충전소 구축 진행상황을 논의했다.
수소차 제조사는 버스 생산설비 확대 등 수소버스 생산계획을 설명하는 등 수소버스 보급 확대에 대비해 업계 간 협력을 통해 수소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수소버스는 다수의 국민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라며 “승용차 대비 약 40배이상 수소 소비가 많은 대형 모빌리티이므로 안정적 운행을 위한 수소 수급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