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K-배양육, 정부 차원 육성 속도 높여야 [유통-기자수첩]


입력 2024.05.10 07:01 수정 2024.05.10 07:01        임유정 기자 (irene@dailian.co.kr)

대체육 시장, 채식주의 영역 뛰어넘어

전 세계 식량‧환경 위기 극복한 대안

다양한 관문 산적…정부 지원책 속도내야

배양육 시제품 돈육ⓒ대상그룹, 스페이스에프 공동제공 배양육 시제품 돈육ⓒ대상그룹, 스페이스에프 공동제공

과연 인간의 상상력과 기술의 한계는 어디까지 일까. 살아있는 동물의 줄기세포를 채취한 뒤 배양해 생산되는 동물성 단백질인 배양육도 벌써 상당 수준에 올라왔다. 실제 판매가 허용된 해외 일부 국가를 넘어 이제는 K-배양육도 내년을 목표로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대체육은 더 이상 채식주의자 만을 위한 영역이 아니다. 여물을 먹고 자란 소·돼지나 바다에서 나는 물고기 대신 인공 배양육이 먹거리를 대체하는 배경을 소재로 한 드라마가 나왔을 정도로 친숙해 졌다. 이제는 전 세계가 식량과 환경의 위기를 해소할 수 있는 유력한 방안으로 주목하는 시장이기도 하다.


배양육과 같은 대체육 시장은 빠르게 성장해 나가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국내 대체육 시장 규모가 올해 2030만달러(한화 약 271억원)에서 2025년 2260만달러(302억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과거 배양육은 제대로 된 정의조차 없었다. 때문에 기업도 자유롭게 연구개발(R&D)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 2월 배양육을 식품으로 인정하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면서 앞으로 농장 아닌 ‘실험실’서 만들어진 인공 고기를 맛볼 수 있게 됐다.


배양육은 기후변화와 이에 따른 식량위기를 해결할 수단이자 차세대 먹거리로 꼽히는 미래 유망산업이다. 전 세계적으로 관련 기술 확보 경쟁도 치열하다. 국내에서도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기술 및 제품 개발이 빠르게 진행된 만큼 배양액 시장이 본격 개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배양육은 이미 대체육 시장의 논란이 됐던 맛과 식감 등 다양한 한계를 뛰어 넘은 것으로 알려졌다. 진짜 고기와 모양도 영양 성분도 닮았다. 기존 축산보다 물을 덜 쓰고 탄소 배출도 적고 동물을 죽일 필요도 없으니 그린슈머(환경을 생각하는 소비자)도 다 잡을 게 분명하다.


우리나라도 이미 1960년대 이미 ‘콩고기’를 만든 역사를 지니고 있다. 배양육 상용화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갈 길이 멀다. 미국 등 푸드테크 선진국에서는 대체육을 넘어 ‘대체 해산물’로까지 눈을 돌리는 등 지속 가능한 미래 먹거리 확보에 전력을 다 하고 있다.


높은 가격이 첫 번째 관문이다. 10년도 안 돼 실험실에서 식탁으로 자리를 옮긴 배양육은 가격경쟁력이 필요하다. 배양육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는 대량 생산과 대규모 설비가 갖춰져야 하지만 현재는 배양육 초기 시장이어서 단가를 낮추기 어렵다.


축산업계에선 배양육을 ‘고기’라 부르지 말아 달라고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도축은 안 하지만 어쨌든 원재료가 동물세포다. 배양육 생산과정에서 성장촉진제, 항생제 등의 투입을 문제 시 삼고 있기도 하다. 어떤 세포를 골라 얼마나 안전하게 키우느냐를 감독할 필요성도 뒤따른다.


한국도 식품 원료 승인 절차를 마련했지만, 결론까지 최대 270일이 걸리는 등 규제 허들이 높다. 미국과 비교해 한국 승인 절차가 훨씬 길고 복잡해 자료 준비에만 5~10억원이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오적 관점에서 식품 제조업 관점으로의 전환 역시 필요하다.


배양육의 육성은 더는 미루어서는 안 될 과제다.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마스터 플랜을 마련해야 한다. 최근 정부가 먹거리 종합대책으로 발표한 ‘국가식량계획’과 연계해도 좋을법 하다. 한 국가 뿐만 아니라 인류 전체를 먹여살릴 기술이다. 지원 법안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

임유정 기자 (ire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