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실패한 계엄령] 외신, 尹대통령 탄핵안 발의 조명…“정치적 운명 불확실”


입력 2024.12.05 21:16 수정 2024.12.05 21:45        김상도 기자 (sara0873@dailian.co.kr)

미국 버지니아주의 한 마트 신문 가판대에 4일(현지시간) 1면 머릿기사와 사진으로 한국 계엄 사태를 다룬 월스트리트저널(WSJ·왼쪽부터), 워싱턴포스트(WP), 뉴욕타임스(NYT) 등이 진열돼 있다. ⓒ 연합뉴스

해외 주요 언론들은 더불어민주당 등 6개 야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가 해제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한 소식을 비중 있게 다뤘다. 특히 정치적 파장을 예의주시하며 다양한 분석 기사로 조명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4일(현지시간) "군사 통치로 정치적 교착 상태를 깨뜨리려 했던 윤 대통령의 시도는 단 몇 시간 만에 무너졌다"며 "야당 의원들이 윤 대통령 탄핵안을 제출하고 시위대가 그의 사임을 요구하면서 윤 대통령의 정치적 운명은 불확실해졌다"고 보도했다. 이어 탄핵관련 절차 등을 상세히 소개한 뒤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가결되는데, '여소야대' 의석 분포지만 가결 여부는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영국 가디언은 '계엄령 후폭풍으로 탄핵 위기에 몰린 윤석열 대통령'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2022년 대통령에 선출된 보수 정치인이자 전직 스타검사인 윤 대통령의 정치적 미래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며 윤 대통령의 자진 사임 또는 탄핵에 의한 파면 등 향후 전개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이어 전국 주요 도시에서 열린 대규모 촛불 집회를 거론하며 "한국이 현대 민주주의 역사상 가장 깊은 혼란에 빠져 있다"고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탄핵에 이르기까지) 비록 상당히 많은 장애물이 있지만 윤 대통령의 정치적 미래가 불확실한 것은 분명하다"며 자진 사임 또는 탄핵에 따른 축출 등 향후 전개될 수 있는 상황을 거론했다. 또 "미국 정권교체기에 발생한 이 격변은 윤 대통령 집권 중 강화돼 온 한국과 미국의 안보관계에 불확실성을 주입한다"며 "온기를 띠고 있는 한·일관계와, 지역의 위협에 맞선 미국의 노력에 동참하려는 한·일 양국의 시도를 뒤흔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법적 쟁점을 소개했다. WSJ는 탄핵안 발의와 관련해 "미국의 가까운 동맹국에 더 커다란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했다"며 "이제 윤 대통령 운명은 '계엄령 선포가 정당화될 수 있느냐'라는 법적인 질문에 달려 있다"고 전했다. 사법적 판단이 이뤄질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개혁신당,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 등 6개 야당 소속 의원 190명과 무소속 김종민 의원 등 191명이 발의에 참여한 윤 대통령 탄핵안은 5일 국회 본회의에 보고됐다. 야당은 7일 오후 탄핵소추안을 표결할 예정이다.

김상도 기자 (marine944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