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이달 20일부터 출범했다.
대선 기간부터 우리나라는 ‘관세 인상’이라는 키워드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게 관세 인상은 수출에 직격탄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기간부터 ‘관세 인상’, 미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축소 등을 예고해 불안감을 야기했다. 당선 후에는 관세를 징수하는 ‘관세청(External Revenue Service, ERS)’을 설립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트럼프는 트루스 소셜에 올린 글에서 취임 뒤 첫 월요일부터 ERS가 관세 징수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수입품에 대한 보편적 관세인상은 한창 잘나가는 우리나라 수출에 타격을 줄 수밖에 없고, IRA 축소 등으로 국내 기업들도 세액공제 축소 등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특히 관세 인상은 대미 수출에 직격탄이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발표한 ‘트럼프 2기 관세정책 리스크 점검 및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산 미국 수출품에 부과되는 관세가 인상됨에 따라 우리나라 대미 수출이 축소된다.
또 멕시코, 캐나다 등 한국기업이 다수 진출한 지역에 고관세가 부과되면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 중간재 수요 감소에 따른 한국산 중간재 수출 감소로도 이어질 수 있다. 그밖에도 3국 보복 관세 부과에 따라 대미 중간재 수출은 축소되나 미국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미 관세 인상(10% 보편관세+대중국 60% 관세 부과 시)에 따라 총 수출액이 226억 달러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상대국 대미 보복관세 시에는 총 수출액이 250억 달러까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대미 수출액만은 152억 달러 감소한다고 전망했다.
산업연구원은 10% 보편관세에 대중국 60% 관세 부과시 우리나라 총 수출액이 92억 달러 감소할 것으로 관측했다.
정부도 미국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와 협의 채널을 조기 구축하겠다는 입장을 앞서 밝힌 바 있다. 또 대외경제현안간담회 등을 신설해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대비한 대응방안을 준비했다. 앞서 1기 행정부 정책, 대선 공약 등을 바탕으로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시나리오를 만든 것이다.
트럼프 취임 후 실제 움직임을 토대로 시나리오를 적용해 대외경제 정책을 이끌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대선 기간부터 여러 변수에 따른 시나리오는 마련됐다. 취임 후 트럼프 행보에 따른 시나리오(대응책)가 적기에 실현되는 게 중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