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가계부채 관리 방침 발표
금융당국이 올해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 속도에 고삐를 죈다. 다만 은행들의 지방 대출에는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2금융권은 가계대출을 늘릴 방침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올해 은행들의 자체 가계대출 절대 금액은 늘어나더라도, 증가속도는 지난해보다 낮아지게 관리할 계획이다. 은행별로 금융당국이 제시한 원칙에 따라 가계대출 목표치를 잠정 결정한 상태다.
금융당국은 이달 중 가계대출 점검회의를 하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가계부채 관리 세부 방향을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김병환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증가 범위인 3.8% 내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언급해다. 총량적으로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증가율 범위 내로 관리한다는 현재 가계부채 관리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취지다.
경상성장률이 정부 전망치 기준 지난해 5.9%에서 올해 3.8%로 낮아지며, 올해 은행들의 자체 가계대출 증가 속도에도 제동이 걸리게 됐다.
금융당국은 은행 지방 대출 증가 속도에 대해선 예외를 둔다. 은행들의 지방 대출에 대해 가계대출 목표치 도달 여부를 산정할 때 인센티브를 적용할 방침이다.
지난해까지 3년째 대출을 줄여온 2금융권에는 올해 대출 목표치를 지난해보다 늘려서 관리할 계획이다. 2금융권이 서민 자금 공급에 기여할 수 있도록 회사별 가계대출 목표치를 관리하겠다는 취지다.
2금융권 가계대출은 상호금융권을 중심으로 2022년 6조원, 2023년 27조원, 지난해 4조원 등으로 감소세를 지속했다. 다만 지난해 4분기 은행권 가계대출 관리 기조에 따른 '풍선효과'로 10월 2조7000억원, 11월 3조2000억원, 12월 2조3000억원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올해 금융권 전체를 대상으로는 월별로 가계대출 증가세를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