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놀이가 아이의 마음을 키운다: 부모가 놓치기 쉬운 놀이의 가치 [이기나의 ‘이기는 육아’㉘]


입력 2025.02.06 14:00 수정 2025.02.06 14:00        데스크 (desk@dailian.co.kr)

많은 부모들이 아이의 발달상태를 학습 능력이나 말하기, 신체 성장과 같은 외부적인 요소들에 근거하여 평가하곤 한다. 그러나 아이의 전인적 발달을 가장 잘 보여주는 지표는 바로 ‘놀이’라고 할 수 있다. 놀이 속에서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배우며,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워나간다. 바쁜 일상과 학업 중심의 양육 환경 속에서 우리는 ‘놀이’를 단순한 여가활동으로 여기기 쉽지만, 놀이는 아이의 건강한 심리적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활동이며, 특히 아직 학습을 시작하지 않는 학령 전기의 유아 및 아동에게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www.canva.com(@FatCamera)

Why? 놀이는 왜 아이의 발달에 중요할까?


① 정서적 발달: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하는 공간


아이는 놀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한다. 좋아하는 놀이에서는 즐거움을 드러내고, 놀이 규칙에 부딪힐 때는 좌절을 경험하기도 하며, 자신이 가정이나 기관에서 경험한 상황이나 습득한 활동을 재연하면서 감정을 해소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부모가 아이가 어떻게 감정을 표현하고 조절하는지 관찰하며 정서적 안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해결을 도와줌으로써 아이의 감정 조절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② 사회성 발달: 상호작용을 통해 배우는 관계의 기술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협력과 소통, 양보, 갈등 해결 경험한다. 특히 역할놀이나 규칙이 있는 게임이 사회적 기술을 자연스럽게 익히는데 큰 도움이 된다. 아이가 부모나 또래와의 놀이에서 규칙을 이해하고 협력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사회성 발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신호라고 볼 수 있다.


③ 인지 발달: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의 발현


놀이 과정에서 아이는 상상력을 발휘하고 다양한 문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쌓던 블록이 무너지는 문제를 해결하거나, 상상 속에서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내는 것은 모두 인지 발달의 중요한 과정이며, 부모는 아이가 놀이 속에서 얼마나 유연하게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지를 통해 인지적 성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아이가 반복적이고 패턴화된 놀이가 아닌 새로운 시도를 즐기는 모습을 보인다면, 창의적 사고가 발달하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로 볼 수 있다.


④ 신체 발달: 움직임을 통한 성장 확인


신체적 움직임이 많은 놀이(예: 달리기, 점프, 공놀이 등)는 아이의 운동 능력과 신체 발달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또 이를 통해 아이가 균형감각, 소근육과 대근육 발달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는지 자연스럽게 확인할 수도 있다.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아이들은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며 체력을 키워나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신체적 움직임이 포함된 놀이를 적절하게 장려하는 것도 필요하다.


놀이는 어린 시절에 충분히 경험하지 않으면 얻기 어려운 중요한 성장의 기회이다. 놀이를 통해 아이들은 정서적 안정감과 자신감을 형성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필요한 사회적 기술과 문제해결 능력을 얻게 되며, 이러한 경험들은 아이가 나중에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다양한 도전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데 커다란 자원이 될 수 있다. 또한 부모가 아이와 함께 놀이하며 긍정적인 경험을 쌓는 것은 아이의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삶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와 잦은 놀이 시간을 가지면서, 아이가 어떤 놀이를 좋아하는지, 그 놀이를 통해 주로 무얼 얻고자 하고 어떤 감정을 표현하며 어떻게 상호작용을 해나가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다. 다음 칼럼에서는 부모가 어떻게 아이와 노는 것이 좋은지 실천 가이드를 소개해보고자 한다.

이기나 플레이올라 원장kina8203@naver.com


#리틀마인드#플레이올라#양육상담#아이와상호작용#아이와놀이시간#놀이의중요성#부모자녀상호작용#심리검사#심리상담#이기나#압구정심리상담센터#압구정아동심리#압구정기질검사#강남심리상담센터#강남아동심리

데스크 기자 (des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