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앞두고 깊어지는 청약 성적 우려…건설사, 분양일정 ‘눈치싸움’
구체적인 분양 날짜는 미정…이달 6만여가구 분양 예정
대통령선거 후 새 정부를 맞이하게 되는 부동산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건설사들이 아파트 분양일정을 다시 조정하고 있다.
선거 직후 바로 분양에 나서기보다는 다른 사업장의 청약 성적을 보고 난 후 결정하기 위해 일정을 미루는 분위기다.
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달 대선 후 전국 분양 예정물량은 5만9686가구로 연내 최대 수준이다. 조기 대선 등의 여파로 3~4월에 예정됐던 물량들이 선거 이후로 연기됐기 때문이다.
당초 4월에는 5만여가구가 분양될 예정이었지만, 지난 3월10일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으로 5월 대선이 확정되면서 분양 일정은 대거 조정됐다. 4월 예정물량이 2만9000여가구로 절반가량 줄었는데도 실제 분양된 물량은 이보다도 적었다.
통상 4월은 봄 이사철을 맞아 분양시장의 성수기라 할 수 있지만, 올해는 분위기가 달랐다. 초대형 이슈인 대통령 선거를 한 달 앞두고 있었던 만큼 분양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어 건설사들이 분양시기를 당초 일정보다 모두 미루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대선 뒤에 구성되는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 방향과 부동산 시장 동향을 살펴보겠다며 숨고르기에 들어간 상황이다.
이달 초 분양 일정을 잡았다 연기한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수요자의 관심이 떨어지면 청약 성적도 좋을 수 없어 대선 이슈가 마무리 되는대로 일정을 정할 계획이지만, 아직 구체적인 날짜를 확정하지는 않았다”며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대선이 끝나고 바로 분양에 나서기보다 경쟁 사업장의 일정을 고려해 분양계획을 잡으려 눈치 보기가 치열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 역시 “대선 이후 구체적인 부동산정책에 맞춰 분양 시기를 조절할 계획”이라며 “분양시장은 일반적으로 4월이 성수기지만 올해는 대선이 끝난 5월 이후에나 분양 성수기를 맞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 올해 부동산 시장은 1월 매수세가 점차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해 3월까지 오름세가 확대됐고, 4월은 대선전이 막바지로 치달으면서 관망세를 보였다.
하지만 각종 부동산 규제들로 금융권 대출 등이 까다로워져 시장이 위축될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는 달리, 유동성의 효과가 지속되면서 대선 이후 본격적인 분양 성수기를 맞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김은선 부동산114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5월은 대선이 끝나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시점으로 새 정부에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현재의 상승세가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며 “대선으로 미뤘던 신규분양 역시 재개되며 공급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그는 “다만 선거전 이슈가 되었던 보유세 인상,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제 유예 여부 등의 정책변수는 여전해 지나친 낙관은 경계해야 한다”며 “금리인상이나 입주물량 증가 등 부동산 시장 전망을 어둡게 하는 리스크도 여전해 입지와 공급량, 가격 등에 따라 선별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