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인 특보 ‘주한미군’ 기고 놓고 여야 ‘충돌’
文대통령 “주한미군은 한미동맹 문제”…논란 진화
한국당 “文특보 역할, 선제적 여론조성” 의구심
여야는 2일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의 ‘주한미군 철수’ 취지의 발언을 놓고 충돌했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이날 “판문점 선언이 결국 주한미군 철수였느냐”며 문 특보 해임을 요구했고, 더불어민주당과 청와대는 “학자로서 개인적 생각”이라고 일축했다.
앞서 문 특보는 미국 외교전문지를 통해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주한미군 주둔을 정당화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에 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원내대책회의에서 “우려했던 일이 현실화하는 게 아닌지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며 “판문점 선언이 결국 주한미군 철수와 핵우산 철폐를 의미했던 것인지 문재인 대통령은 국민 앞에 답해달라”고 요구했다.
장제원 수석대변인도 “그간 문 특보가 논란을 일으킬 때마다 청와대는 ‘개인적 의견’이라며 치고 빠졌지만 문 특보의 개인적 의견은 대부분 적중했다”며 “청와대와 문 특보가 일심동체가 아니라면 돗자리를 깔아도 될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문 특보의 주한미군 철수 주장은 청와대와의 긴밀한 교감 속에 선제적 여론 조성 차원에서 진행된 역할 분담”이라며 “주한 미군 철수가 청와대의 뜻이 아니라면 문 특보를 즉각 파면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바른미래당 박주선 공동대표도 “도대체 문 특보는 문 대통령의 특보인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특보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문 특보를 즉각 해임 조치하라”고 강조했다.
또 “북한도 주장하지 않는 주한미군 철수를 대통령 특보가 말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평화협정이 주한미군 철수로 연결되면 그건 진정한 평화협정이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주한미군 주둔은 한미동맹 차원의 문제”라며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과 주한미군 철수는 무관하다며 문 특보 주장과 선을 그은 것이다.
민주당 추미애 대표도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 당의 일관된 입장은 주한미군은 국내 평화 지킴이로 계속 주둔한다는 것”이라며 “김대중 전 대통령의 6.15 남북정상 선언에도 주한미군은 국내에 계속 주둔해야 한다는 양해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