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세사업체 중심으로 고용 악화 전망"
내년 국내 중소기업 경기의 회복세가 다소 약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수출은 양호하겠지만 생산 활동이 둔화하고 영세사업체를 중심으로 고용이 악화할 것이란 관측이다.
중소기업연구원이 23일 발표한 2019년 중소기업 경기전망 및 정책 이슈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중소제조업 생산은 수출 여건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투자 회복이 지연되는 등 내수 여건도 녹록치 않아 회복력에 제한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소서비스업은 고용과 내수부진에 대한 우려 등으로 다소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은 유망소비재의 경쟁력 강화, 수출 다변화 노력 등에 힘입어 내년엔 4%대의 증가율을 기록하겠지만, 글로벌 보호무역 확산과 중국 성장세 위축 등으로 증가세는 단소 둔화할 것으로 보고서는 판단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고용의 경우 정부의 일자리 대책과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개선의 여지는 있지만 인구증가율 둔화, 내수경기 악화, 자영업 구조조정 지속 등의 영향으로 회복에 제한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내년 중소기업 관련 정책 이슈로는 ▲창업국가 실현을 위한 혁신 쓰나미 창출 ▲스마트공장 확산을 통한 중소 제조기업의 위기 극복 ▲규제자유특구를 활용한 지역특화발전 가속화 ▲해외 중소기업의 유턴 활성화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다변화 ▲혁신형 소상공인 정책의 본격적 시행 ▲대중소기업의 공정경쟁 기반 강화 ▲대기업과의 격차 줄이기 ▲자영업 부채 리스크 대비 ▲중소기업형 남북경협의 정체성 확립 등 10가지를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