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인천‧수원발 KTX 개통 차질… 현대로템 “고속차량, 최소 발주수량 존재”


입력 2022.10.11 10:15 수정 2022.10.11 10:15        편은지 기자 (silver@dailian.co.kr)

“인천 시민에 깊은 유감… 납품에 최선 다할 것”

EMU-320 고속차량. ⓒ현대로템

현대로템이 지난 10일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의원실에서 제기한 ‘인천발ᆞ수원발 KTX 사업차질’지적과 관련해 “고속차량 발주 사업이 지연된 것과 관련해 인천시민분들께 심려를 끼친 점에 깊은 유감을 느낀다”면서도 “고속차량은 구매 수량에 따라 제작 금액이 크게 달라지는 주문 제작품”이라고 11일 해명했다.


앞서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의원실은 지난해 코레일이 발주한 차량 입찰에 현대로템이 수량이 적고 가격이 낮다는 이유로 응찰하지 않아 인천발ᆞ수원발 KTX 사업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에 현대로템은 고속 차량의 경우 일반 공산품과 달리 주문이 들어올 때마다 한정 생산하는 다품종 소량 생산 방식의 주문 제작품이라는 설명이다. 고속차량은 생산에 들어가는 원소재부터 1만2000여종에 달하는 부품에 이르기까지 협력업체로부터 일일이 구매해 조립ᆞ제작된다.


현대로템은 “부품마다 발주처의 설계승인을 받아 고속차량을 제작하고 있다”며 “원소재부터 완제품에 이르기까지 철도안전법에 따른 시험 및 검사를 매번 비용을 납부하며 받도록 규정돼 있어 ‘규모의 경제’가 이뤄지지 않으면 제작원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는 구조”라고 말했다.


이어 “고속차량 제작에 들어갈 때마다 요구되는 부품의 개발비용이나 금형비, 시험검사비 등 1회성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며 “이 때 들어가는 1회성 비용은 부품수량에 따라 균등하게 배분되기 때문에 구매 수량이 적을수록 최종 완성차의 제작원가는 오를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1회 검사 비용이 160원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16량짜리 고속차량에 나눠 부담했을 때(량당 10원)와 160량(량당 1원)짜리 고속차량에 나눠 부담했을 때 량당 제작 단가는 동일할 수 없다. 따라서 부품 제조원가나 생산성이 일정 수준 이상이 유지되려면 최소한의 발주 물량이 필요하다는 ‘최소 발주수량’이 존재한다는 것이 회사 측의 입장이다.


현대로템은 “원가를 낮추고 발주처가 원하는 예정 단가를 맞추기 위해 지난해 발주처인 코레일에 수원인천발 16량과 평택오송선 120량을 통합발주 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당초 수원인천발 16량만 발주했던 코레일은 현대로템의 의견을 반영해 올해 7월 수원인천발 16량과 평택오송선 120량을 합친 136량으로 통합발주를 진행한다는 사전규격공개를 냈다.


현대로템은 “지난 2016년 발주된 EMU-260 30량 사업에서 예정가격이 예산 대비 77% 수준으로 낮게 책정되면서 손실을 떠안고 계약을 진행하기도 했다”며 “지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철도부문에서만 총 2391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현대로템은 “국민의 교통 접근성과 편익증대를 위한 한국산 고속열차 납품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편은지 기자 (silver@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