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전기·가스·대중교통비 폭탄 속…통신비는 1.2조 깎아줬다


입력 2023.02.13 09:13 수정 2023.02.13 09:41        남궁경 기자 (nkk0208@dailian.co.kr)

1월 소비자물가지수 전년 비 5.2%상승…통신비는 1.1%

"취약계층 통신비 완화·디지털 복지 실현 노력 중"

서울시내 한 통신사 매장 앞으로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연합뉴스


전기·가스비 등 공공요금 인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통신사들이 취약계층 대상 요금 감면 등 다양한 지원책을 펼치고 있다. 통신비 인상 요인은 크지만, 취약계층을 포함한 '생계형' 가입자들의 부담을 최소화 해 가계의 부담을 경감하겠다는 취지다.


12일 통계청의 ‘2023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8%, 전년 동월 대비 5.2% 상승했다. 전기요금·상수도료 등 공공요금 인상이 오르면서 2018년 9월(0.8%) 이후 가장 높은 규모를 기록했다.


이 중 통신은 전월대비 0.0%, 전년동월대비 1.1% 상승에 그쳤다. 일반 소비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휴대전화료(101.3→101.79)와 유선전화료(100.19→100.24)의 상승 폭은 미미했지만, 전화 및 팩스장비(101.02→101.46)와 휴대전화기 수리비(93.63-→96.63) 등이 오르면서 전체 통신 물가에 영향을 줬다.


통신비 증가세는 같은 기간 5.8% 오른 주류·담배와 의류·신발의 5.9%보다도 낮은 수치다. 특히 1월 물가 상승의 주범인 주택·수도·전기·연료(전년 대비 8.0%) 물가 상승률에 비하면 현저히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시장에서는 소비자 물가 상승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관측되지만, 통신비 인상은 없을 가능성이 높다. 통신3사는 그간의 고물가에도 불구, 취약계층 대상 통신요금 감면 등도 지속하는 행보를 보여왔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의 취약계층 대상 통신비 감면 금액 추정치는 지난해 기준 1조2000억원 규모다. 각사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살펴보면 SK텔레콤은 5000억원, KT는 4000억원, LG유플러스는 3000억원 수준이다.


취약계층 대상 요금 감면은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및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장애인·국가유공자 ▲차상위계층 ▲기초연금수급자 등을 대상으로 전기통신사업법에 의거해 통신사가 이통 요금(장애인 등 대상 초고속인터넷 요금 일부 포함)을 할인하는 제도다.


통신업계 관계자는"올해 경제상황이 악화되면서 통신업계는 산업의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 같은 위기 속에서도 통신사는 취약계층의 통신비 부담을 완화 및 디지털 복지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남궁경 기자 (nkk0208@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남궁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