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Q 9.6만명 ‘내 집 마련’…3040 매수세 두드러져
대선 공약 및 새 정부 부동산 정책 변동성 등 영향
“금리·경기 등 거시경제 환경이 시장 흐름 결정”
부동산경기 침체로 수요자들의 관망 분위기가 짙은 가운데 무주택자들의 내 집 마련 움직임이 속도를 내고 있다. 대선을 앞두고 향후 부동산 정책 변화로 자칫 집값이 상승할 수 있단 우려가 커지면서 매수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13일 법원 등기정보광장 소유권이전등기(매매) 현황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올 1분기 생애 첫 집합건물(아파트·빌라·오피스텔 등) 매수자는 총 9만6091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1년 전 같은 기간(9만2204명)과 비교하면 4.2% 증가한 수준이다.
월 별로 생애 첫 매수자를 살펴보면 1월 2만7992명에서 2월 3만3870명, 3월 3만4229명으로 증가세가 지속됐다.
지난해 9월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크게 꺾였던 매수 심리가 새해 들어 기준금리 인하,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및 재지정 등을 거치면서 일부 살아난 것으로 풀이된다.
연령 별로 보면 30대가 월등하게 많았다. 1분기 30대 생애 첫 매수자는 총 4만4865명으로 전체의 46.7%를 차지했다. 그 뒤로 40대(2만4548명)·50대(1만1777명)·20대(8133명) 등의 순이었다.
지역 별로 보면 경기도가 3만1528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1만448명)과 인천(8596명) 등 수도권에 생애 첫 매수자들이 몰렸다. 지방에선 경남(6336명)·경북(5309명)·대구(5297명) 등 세 곳을 제외하고 대부분 2000~3000건대 수준을 나타냈다.
아직 이달 말까지 신고 기한이 남은 것을 고려하면 생애 첫 매수자는 이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무주택자들의 내 집 마련 움직임이 분주해진 데는 이미 한 차례 학습 효과를 겪은 것이 영향을 미쳤다. 실제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대선을 치른 이후 집값이 상승한 만큼 시장 변동성에 수요자들이 기민하게 반응하는 셈이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 2017년 5월 19대 대선 전 3개월 간 서울 아파트 값은 1.07%, 대선 이후 3개월 간 0.31% 각각 상승했다. 당시 초 저금리 기조와 풍부한 유동성 등이 맞물리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거래량과 집값은 빠르게 회복했다.
서울의 아파트 3.3㎡당 평균 가격은 2016년 12월 2200만원에서 2017년 5월 2597만원으로 6개월 사이 18.0% 올랐다.
이러한 양상은 본격적인 대선 국면에 접어들게 되면 각 정당을 중심으로 부동산 관련 선심성 공약들이 쏟아지는 점도 한 몫 한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비상계엄 사태가 탄핵선고로 이어지기까지 부동산 시장 내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수요층들의 의사결정을 지연시키는 요소로 작용했다”며 “대선을 앞두고 대선 주자들이 내놓은 부동산 정책은 차기 정권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이 되므로 과거처럼 정치적 이슈로 인한 매수 지연 움직임이 상당 수준 완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어떤 정부가 들어서도 투기수요 억제,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침 등은 이어갈 것”이라며 “자금 사정에 맞는 내 집 마련 전략들을 치열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박근혜 정부는 규제 완화 중심의 공약을 제시했으나 당시 장기 저성장과 내수 침체로 집값 상승 전환에는 실패했고 문재인 정부는 규제 일변도의 공약을 내세우며 출범했으나 금리·경기 등 거시 환경의 영향으로 강한 오름세를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각 당선인의 공약이 시장에 일시적인 기대감을 주는 역할은 했지만 시장은 거시경제 여건에 따라 달라진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