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서울 마포구, '소각장' 대안으로 '소각 제로가게' 제시…"실효성 의문"


입력 2023.03.28 10:46 수정 2023.03.28 10:53        박찬제 기자 (pcjay@dailian.co.kr)

박강수 마포구청장, 27일 기자설명회…"마포형 소각쓰레기 감량 정책"

생활쓰레기 세척·분류·분쇄·압착 작업 가능…재활용품 단가 높이고 물류비용 저감 효과 기대

향후 소각 제로가게 5곳으로 늘릴 방침…1곳 당 설치 비용 5000만원

쓰레기 배출량, 실질적으로 줄이려면 서울 전역 확대돼야 효과…비용 및 행정적 절차 문제 발생

박강수 마포구청장이 27일 '소각 제로가게' 앞에서 마포형 소각쓰레기 감량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 마포구가 상암동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폐기물 소각장)의 대안으로 '재활용 중간처리장 소각 제로가게’(소각 제로가게)를 내놨다. 구민들의 재활용 참여를 확대해 소각 쓰레기를 줄이겠다는 목표지만 일각에서는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나온다. 소각 쓰레기 배출량을 실질적으로 줄이려면 소각 제로가게가 마포구 뿐만 아니라 서울의 25개 자치구 전역으로 확대돼야 하는데, 이 경우 설치 비용이나 행정적 절차 문제가 뒤따르기 때문이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27일 구청 광장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소각 제로가게'를 공개했다.


구는 그간 시의 폐기물 소각장 입지선정에 대해 전면 백지화를 요구해 왔다. 이번에 공개한 소각 제로가게는 폐기물 소각장의 대안으로, 마포형 소각쓰레기 감량 정책의 일환이다.


박 구청장은 "소각장 추가 설치 문제는 비단 오세훈 서울시장 혼자만의 책임이라기보다는, 올바른 분리배출에 대한 시민의식 부족 등 근본적인 원인이 더욱 크다"며 "올바른 분리배출과 중간처리가 가능한 공간을 지역 곳곳에 만들어 주민들이 재활용 정책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근본적인 폐기물 처리 정책을 마련해 시민의식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일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제도가 정착되고 확산돼 결국 우리 지역에서 소각이 필요 없어지는 게 마포형 소각쓰레기 감량 정책이고, 소각 제로가게 1호점이 그 시발점"이라고 말했다.


소각 제로가게 1호점은 마포구청 광장에 위치했다. 주민 누구나 생활쓰레기를 분리배출 및 중간처리 할 수 있는 곳이다.


구는 가로 9미터, 세로 3미터 크기의 구조물 안에서 생활쓰레기를 세척, 분류는 물론 분쇄·압착 등의 과정을 거쳐 깨끗한 재활용 자원으로 만들어 내는 자원순환 작업이 이뤄지는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수거함은 비닐, 유리병, 종이, 캔, 플라스틱, 의류 등 18종으로 세분화했다. 재활용이 불가능한 물품은 별도로 버릴 수 있게 종량제 봉투도 비치했다.


또 캔·페트병 압착 및 파쇄기를 구비해 재활용품의 부피를 1/4에서 최대 1/8까지 줄이는 가공작업이 가능하도록 했고 폐스티로폼을 잉고트(INGOT)라는 자원으로 바꾸는 스티로폼 감용기도 갖췄다. 구는 이같은 처리과정을 통해 재활용품의 단가는 높아지고 물류비용은 낮아지는 효과를 기대 중이다.


자원순환에 대한 주민 관심과 참여를 높이기 위한 유가보상제도도 마련했다. 18개 품목에 책정된 개당 또는 무게당 보상가격에 따라 10원부터 600원까지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방식이다. 적립된 포인트는 일주일 후 현금 또는 제로페이로 환급된다.


구는 소각 제로가게 1호점을 시작으로 지역에 제로가게 5곳을 우선 설치할 계획이다. 이후 이용률과 재활용 처리 효과를 검토해 아파트 단지와 일반 주택가의 국·공유지를 활용, 향후 100곳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다만, 일각에서는 제로가게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과 우려를 제기했다. 쓰레기 배출량을 실질적으로 줄이려면 소각 제로가게가 서울 전역으로 확대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비용문제도 생긴다. 이날 공개된 소각 제로가게 설치 비용은 5000만원이다. 구가 계획한 대로 관내 100개소를 설치하려면 약 50억 원이 든다. 행정 절차적 문제도 있다. 마포구에서 실시하는 사업을 다른 자치구에서도 똑같이 시행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박찬제 기자 (pcjay@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박찬제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