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 이후 국내 항공사들이 보조배터리 관리를 한층 강화한다. 화재 원인이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기내 선반에 보관된 보조배터리에서 발화가 추정되는 만큼 선제적으로 안전 규정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국내 항공사들은 보조배터리 및 소형전자기기를 선반에 두면 안 된다는 원칙을 탑승객들이 정확히 숙지할 수 있도록 관리 강도를 높이고 있다.
에어부산은 오는 7일부터 탑승 전 기내 수화물에 리튬이온 배터리 등 화재 위험 물체는 빼도록 하는 등의 '기내 화재 위험 최소화 대책'을 시행한다. 탑승구에서 승객의 휴대 수하물 내 보조 배터리 유무를 사전에 확인할 예정이다. 예약·발권 과정과 탑승 수속 단계에서 승객의 동의 절차를 거치는 방식이다.
대형항공사인 대한항공은 보조배터리 등을 좌석 주머니에 보관하도록 승객 안내를 강화한다. 보조배터리를 보관할 수 있는 투명한 지퍼백을 기내에 배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4일부터 보조배터리 기내 선반 보관 금지를 안내하고 있다. 모든 항공기에 배터리 화재 진압 전용 장비를 구비하고, 안내 방송도 1회에서 3회로 늘린다.
제주항공도 이날부터 탑승 전 모바일과 키오스크로 수속할 때 보조 배터리 등 리튬 배터리를 직접 소지해 눈에 보이는 곳에 보관하고 기내 선반 보관을 금지하는 내용에 대해 확인 후 동의를 해야 수속이 가능도록 조치했다.
다른 저비용항공사(LCC)들도 기내 선반 보관을 금지한다. 진에어는 관련 내용의 안내 방송을 추가하고, 티웨이항공과 이스타항공은 지퍼백 개별 포장 보관과 절연테이프 부착 등을 안내한다.
다만 항공사들의 이런 조치는 강제성이 없어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아울러 승객이 안내에 따르지 않고 선반 안에 보조배터리를 두거나 지퍼백에 넣지 않아도 제재하거나 처벌할 규정이 없는 상황이다.
국토교통부는 보조배터리 등의 기내 사용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방안을 항공업계와 논의해 4월 ‘항공안전 혁신 방안’에 담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