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생산 늘었는데 가격 상승…정부, 김 수급 관리 칼 빼 든다


입력 2025.02.13 09:17 수정 2025.02.13 09:17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마른김 가격 상승하는 데 물김 값은 하락

양식 면적 확대에 불법 생산까지 겹쳐

해수부 ‘김 수급 관리 방안’ 발표

불법 양식 단속·생산 안정화 등 추진

2025년 햇김 생산 모습.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가 마른김 가격이 상승하는 것과 달리 산지에서는 물김 가격 하락으로 김을 폐기하는 일이 발생하자 ‘김 수급 관리 방안’을 13일 내놓았다.


해수부는 “김 양식에 적합한 수온이 유지되고 양식 면적도 늘어나 지난해 12월과 지난달 물김 생산량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9.8%, 23.3% 증가했다”며 “이에 일시적인 수급 불균형이 발생해 지난달 산지(물김) 가격이 하락하고 일부 지역에서 물김 폐기가 발생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전남·전북·경인·충남·부산 산지 위판장에서 폐기된 물김은 모두 5989t으로 집계됐다.


물김 폐기량이 늘어난 것은 올해 작황이 작년보다 나아진 탓이다. 더불어 신규 양식장 허가가 늘었고, 불법 물김 양식 성행 등으로 생산량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지난달 전남에서 생산된 물김이 작년 동기 대비 17.6% 늘었고, 부산과 충남에선 각각 76.9%, 64.9%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작년에 김 수출이 잘 되고 가격도 비싸져 물김 양식업에 뛰어든 어민이 많았다”며 “허가받지 않은 양식장에서 김을 불법 양식하는 어민도 많이 생겨 김 생산량이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산지에서는 가격 하락으로 물김을 폐기하는 반면 마른김 가격은 장당 145원으로 지난해보다 31.9% 비싸게 팔리고 있다.


이에 해수부는 산·학·연·관이 참여하는 ‘김산업협의체’를 운영해 적정한 양의 물김을 생산하고 마른김 가공·유통을 활성화할 방안을 추진 중이다.


특히 김 수급 관리 방안을 바탕으로 물김 생산 안정화 조처에 나섰다.


해수부는 불법 양식시설로 물김 생산량이 늘지 않도록 지난 10일부터 관련 시설 철거를 진행 중이다.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지역을 불법 의심 해역으로 지정하고 지자체, 해경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특별 단속도 나설 계획이다.


일시적인 공급 과잉으로 물김을 폐기하면 지자체·수협 차원에서 양식 어가에 대해 최소한의 경영비용 보전을 위해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앞으로는 외해 양식부터 계약생산 시범 사업을 도입해 어가 소득 안정화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마른김 가공·유통 활성화도 지원한다. 유통·가공업체가 물김을 적극 수매해 내수와 수출이 촉진되도록 김을 수매 자금 1383억원을 2월 중순부터 낮은 금리로 융자 지원한다. 우수 수산물 지원에도 1489억원을 투입한다.


또한 영세 마른김 가공업체 낡은 설비를 교체하고, 수산물 산지가공유통센터(FPC), 소비지분산물류센터(FDC) 추가 건립 등 마른김 가공·저장능력 확충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기획재정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관계 부처 합동으로 ‘김 유통질서 현장점검’을 통해 마른김의 원활한 유통을 도모한다.


해수부는 “물김 생산 증가에 따라 마른김 도매가격은 2024년 12월 1만2023원(100장)에서 지난달 9721원, 지난주 8167원으로 지속 하락하고 있다”며 “마른김 소매 가격도 차츰 안정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