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생수 이용자 63%, 불편함 1위는 분리배출"


입력 2025.02.20 15:57 수정 2025.02.20 15:57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브리타, 2025 먹는 물 실태 조사 결과 발표

브리타 장점은 ‘간편성’과 ‘친환경성’

필터 1개로 생수병 300개 절감

ⓒ브리타

독일 친환경 정수기 브랜드 브리타가 이달 5일부터 9일까지 국내 성인 남녀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먹는물 실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음용수는 '설치형 정수기'(47%)가 가장 많았고, '생수'(30%), '미니 정수기'(20%) 순이었다.


물을 마실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최대 2개까지 선택한 결과 '안전성/신뢰성'(52%)과 '물맛'(44%)이 꼽혔다.


생수 이용자들의 가장 큰 불편함은 '페트병 쓰레기 분리배출의 번거로움'(63.3%)으로, 뒤를 이어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이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27%)이 지적됐다.


이외에도 생활 필수품으로서의 가격 부담이나, 최근 미세플라스틱 논란 등 건강에 대한 우려를 불편함으로 꼽는 의견도 있었다.


생수를 선택하는 주된 이유가 '기기 관리가 필요 없는 편리함'(73.3%)이었으나, 일회용품 처리와 환경 영향에 대한 부담이 생수 사용의 주요 단점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전체 응답자의 약 90%가 브리타에 관한 인지가 있다고 응답했다.


브리타 사용자들은 복수 응답이 가능한 질문에서 ‘일회용 분리배출 등이 필요 없는 간편성’(54.5%)과 ‘플라스틱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성’(45.5%)을 주요 장점으로 답했다.


특히 브리타 사용자 중 70% 이상이 기존에 생수를 주로 이용하다가 브리타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브리타 사용 만족도는 80% 수준으로, ‘간편성’과 ‘친환경성’ 외에도 ‘경제성’(42.4%)과 ‘물맛’(33.3%) 등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브리타는 필터 1개로 최대 150L의 정수가 가능해, 필터 1개당 500mL 생수병 300개에 해당하는 절감 효과가 있다.


특히 가격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2030 세대의 경우 40% 이상이 '경제성'을 중요 요소로 꼽았다. 이들의 미니 정수기 이용 비율은 40대 이상의 두 배를 웃돌기도 했다.


안젤로 디 프라이아 브리타 코리아 대표는 “브리타는 생수의 분리배출 불편함과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할 최적의 선택”이라며 “특히 미세플라스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브리타는 59년 전통의 독일 정수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심할 수 있는 음용 솔루션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