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연령 기준 70∼74세 51.7%, 75세 이상 23.3%, 65∼69세 18.1%순
적정 은퇴 시기 65∼69세 가장 많아…은퇴 후 적정 월 생활비 250만원 이상
서울시내 10가구 중 4가구 1인가구, 60세 이상 40.6% 가장 많아
서울시민들은 70.2세부터 노인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2024 서울서베이'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서울서베이'는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서울시민의 인식과 삶의 질, 생활상, 가치관 등 전반적인 사회상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부터 매년 발표하는 자료로 항목에 따라 가구(2만가구, 가구원 3만6280명), 시민(5000명), 서울거주 외국인(25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는 초고령사회 등 인구변화에 따른 시민인식을 확인하고 대응방안 등을 마련하기 위해 '서울시민이 생각하는 노인 연령 기준' 문항을 새롭게 포함했다.
조사에 따르면 노인이라 생각하는 나이는 70.2세였으며 2명 중 1명에 이르는 51.7%가 70~74세를 노인이라 답했다. 65세 이상 응답자는 노인 기준연령을 72.3세라고 답해 65세 미만 69.8세보다 2.5세 더 높았다.
연령기준을 세분화했을 때 응답은 70∼74세가 51.7%로 가장 많았고 75세 이상(23.3%), 65∼69세(18.1%), 60∼64세(6.6%), 60세 미만(0.3%)이 뒤를 이었다.
고령화에 따른 정년 연장 여부에는 87.8%가 동의했다. 적정 은퇴 시기는 65∼69세(40.5%), 은퇴 후 적정 월 생활비는 250만원 이상(53.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65세 이상 시민의 노후 희망 활동은 취미·교양 활동(78.8%)이나 소득 창출(70.3%)이 손자녀 양육(33.5%)보다 높았다.
서울시내 2만가구의 가구원 3만628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10가구 중 4가구(39.3%)가 1인가구로 나타났다. 1인가구 지속기간은 평균 8.01년이었다. 1인가구 연령대는 60세 이상이 40.6%로 가장 많았고 20∼30대 34.9%, 40∼50대 24.5%였다.
1인가구의 어려움은 균형 잡힌 식사(4.79점), 아프거나 위급시 대처(4.71점), 가사(4.69점), 고립에 따른 외로움(4.43점), 경제적 불안(4.17점) 등이었다.
서울시내 5가구 중 1가구(19.5%)는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것으로 파악됐다. 77.8%가 개를, 19.2%는 고양이를 키웠고 개와 고양이를 함께 키우는 가구도 2.6%였다.
서울가구의 76.6%는 통근·통학을 하며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버스(27.7%), 승용차(22.1%), 버스+지하철(19.7%), 지하철(13.0%), 도보(12.9%) 순이다. 통근·통학 소요시간은 30분∼1시간 미만 48.2%, 1시간 이상 12.8%였다. 통근·통학 만족도는 6.57점으로 6년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교통수단별 만족도는 버스가 7.41점으로 전년(7.03점) 대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하철 7.17점, 시외버스·고속버스 6.30점, 택시 6.19점이었다.
우리 사회의 공정성을 묻는 항목에는 교육기회가 6.0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병역의무 이행 5.56점, 복지혜택 기회 5.20점, 성별에 따른 대우 5.12점, 취업 기회 5.06점 등이었다.
10년 후에도 서울에 거주하고 싶다는 응답은 67.8%로 2년 연속 상승했다.
아울러 서울 거주 외국인 2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서울에 살면서 느끼는 삶의 질 만족도는 6.97점으로 전년(6.72점) 대비 0.25점 높아졌다. 서울 랜드마크로는 2명 중 1명(48.4%)이 '광화문(광장)'을 꼽았다. 고궁(36.8%), 한강(23.8%), 동대문(DDP)(23.5%), 시청 앞 광장(20.6%)이 뒤를 이었다.
2024 서울서베이 조사는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 0.69%p다. 결과 보고서는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