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목 한시간 더 일하고 금요일 4시간 근무"
"워라밸 개선 효과 누릴 수 있는 현실적 대안"
"민주당 4.5일제 근로시간 줄이고 급여 유지"
"포퓰리즘 정책 비판에 설득력 있는 설명 못해"
국민의힘이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주 4.5일제 도입을 적극 추진한다.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하루 8시간 기본 근무 외 한 시간씩 더 일하고 금요일에는 4시간만 근무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총 근무시간이 줄지 않아 급여도 감소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4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국민의힘에 제안된 정책 중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주 4.5일제를 정책으로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권 위원장에 따르면 울산 중구청은 주 40시간 근무시간을 유지하면서도 금요일 오후 휴무를 가질 수 있도록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주 4.5일제를 시범 실시 중이다. 업무 공백을 막고 시민에게 기존과 같은 서비스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정원의 25% 범위 내에서 모든 직원들이 순환 방식으로 제도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 권 위원장은 "기존 주5일 근무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유연한 시간 배분을 통해 주 4.5일제의 실질적인 워라밸 개선 효과를 가져오는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반면 민주당이 주장하는 주 4일제 및 4.5일제는 근로시간을 줄이되 받는 급여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비현실적이고 포퓰리즘적인 정책"이라며 "근로시간을 줄이게 되면 급여도 줄어드는 것이 상식이라는 비판에 대해 민주당은 설득력 있는 설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법정 근로시간 40시간은 유지하되 유연 근로제를 통해 실질적으로 4.5일제 이점을 누릴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대선 공약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다만 유연근무를 도입하더라도 생산성과 효율성이 전제돼야 한다"며 "국민의힘은 주 4.5일제 도입 검토와 함께 업종과 직무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유연근로를 방해하는 주 52시간 근로제 폐지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했다. 권 위원장은 "반도체 등 첨단 산업을 비롯해 주 52시간 규제로 인해 생산성이 저해되고 있는 산업을 면밀히 분석해 실질적인 제도 개선 방안을 함께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주 5일제와 주 52시간 근로 규제는 시대의 흐름과 산업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획일적인 제도로서 유연한 근로문화 구축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국민의힘은 유연근무제를 적극 활용해 산업별·직무별·생애주기별로 다양한 근무 형태가 가능한 선진형 근로문화정책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