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미분양 무덤 김포서 6만5천 모은 GS건설


입력 2017.05.23 10:13 수정 2017.05.23 10:22        박민 기자

'한강메트로자이' 견본주택 개관 이후 3일간 6만5000여명 '인산인해'

전매제한 피해 투자자 대거 유인한 것으로 보여

GS건설은 한강메트로자이 견본주택에 오픈 직후 사흘간 6만5000여명이 다녀갔다고 22일 밝혔다. 사진은 견본주택에 입장하기 위해 줄을 선 내방객 모습.ⓒGS건설 GS건설은 한강메트로자이 견본주택에 오픈 직후 사흘간 6만5000여명이 다녀갔다고 22일 밝혔다. 사진은 견본주택에 입장하기 위해 줄을 선 내방객 모습.ⓒGS건설

과거 '미분양의 무덤'이라는 오명이 붙었던 경기도 김포시 내에서 이례적으로 6만여명이 넘는 인파가 몰리는 견본주택 단지가 나와 업계와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같은 인산인해는 실수요자 측면의 주택상품 인기를 넘어 투자자들까지 대거 유인한 전략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GS건설에 따르면 이 회사의 올해 최대 사업지인 '한강메트로자이' 견본주택에 지난 19일 문을 연 첫날 2만여명, 20일 2만3000여 명, 21일 2만2000여명 등 3일간 총 6만5000여명이 다녀갔다. 방문객이 한꺼번에 몰려 견본주택 입장부터 내부 유닛 관람 및 상담까지는 3시간 가량 소요될 정도였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한강메트로자이는 총 4229가구 규모인데 이번에 1·2단지 3798가구가 일시에 분양됐다. 분양가는 3.3㎡당 1250만원선으로 인근 시세 대비 조금 높은 편이다. 다만 내년 개통 예정인 김포도시철도 '걸포북변역' 역세권 등의 교통호재로 상대적으로 많은 수요자가 관심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실수요자들이 관심이 가질 만한 곳에 투자자들도 몰리는, 소위 돈이 되는 곳에 쏠리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면서 "특히 새로 들어선 문재인 정부가 주택시장 연착륙을 고려해 강도 높은 추가 규제책을 내놓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갈 곳 잃은 뭉칫돈들이 여전히 부동산으로 유입되고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단지가 들어서는 김포시는 지난 11·3대책 조정대상지역에 포함되지 않아 종전보다 강력해진 규제(1순위 청약 조건 및 재당첨 제한, 전매제한 강화)를 받지 않는다. 이에 다른 수도권 지역에 비해 청약이 한결 자유로운 데다, 땅도 민간도시개발사업지인만큼 전매제한 기간도 종전대로 6개월에 불과하다.

GS건설은 한강메트로자이 견본주택에 오픈 직후 사흘간 6만5000여명이 다녀갔다고 22일 밝혔다. 사진은 견본주택 내부 모습.ⓒGS건설 GS건설은 한강메트로자이 견본주택에 오픈 직후 사흘간 6만5000여명이 다녀갔다고 22일 밝혔다. 사진은 견본주택 내부 모습.ⓒGS건설

GS건설은 이같은 특성을 고려한 투자수요 유인 전략으로 이번 열기를 이끌어 낸 것으로 보인다. 직장동료, 신혼부부 등이 그룹을 이뤄 계약할 경우 각 개인에게 최소 30만원에서 최대 80만원을 할인해주는 '공동구매 혜택' 카드를 꺼내들었고, 여기에 분양가의 10%인 계약금만 내고도 전매가 가능하도록 1회차 중도금 납부 시기를 멀리 잡은 것이다.

실제 회사측은 분양홈페이지를 통해 "최초 지정 계약일로부터 6개월 후 분양권 전매가 가능하다"면서 "1회차 중도금 납부 시기는 내년 2월"이라고 홍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정계약을 한 뒤 4개월 이후 첫 중도금대출이 발생하는 것과 달리 전매가 가능하도록 기간을 두 배 이상 늘린 셈이다.

현재 새 정부의 특별한 시장 부양책이 없는 상황에서 GS건설의 전략이 실제 높은 계약률까지 이어질 경우 향후 다른 사업장에서도 이런 과감한 배팅이 늘 것으로 보인다. 다만 투자자들은 실입주가 아닌 투자금 회수에 목적을 둔 만큼 향후 경기가 좋지 않아 거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결국 입주거부 등의 사태로 이어질 우려를 안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올해 하반기부터 2019년 초까지 입주할 물량이 약 100만 가구(부동산114기준)에 달해 향후 시장에서 소화할 여력이 있을지는 미지수"라며 "입주물량 공급과잉에 경기까지 좋지 않아 입주시까지 거래 회전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결국 투자자들은 계약금만 손해보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할 수 있어 향후 건설사까지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특히 올해 분양하는 단지부터 집단대출 규제가 강화돼 DSR이 적용되고, 원금과 이자를 함께 나눠갚는 원리금 균등상환이 시행되는 만큼 여력이 충분하지 않는 투자자들 역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어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민 기자 (mypark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