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투표 나선다면 '독려' 의미
與 측면 지원으로 해석 가능성
대통령의 투표 일정도 메시지다. 2013년 재·보궐선거부터 사전투표제가 도입되면서 대통령의 투표일이 주목된다. 대통령이 사전투표일에 한 표를 행사했다면, 투표 독려의 메시지로 읽힐 수 있다. 통상 투표율은 선거 당시 정치적 분위기를 투영하는 동시에 승패의 변수로 작용돼 왔다. 4·15 총선의 사전투표일은 10일부터 이틀간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총선 투표 일정은 이날 현재까지 공식화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이 언제, 어디서 투표할지는 경호 관계로 보안 사항이다. 다만 문 대통령이 지난 2018년 6·13 지방선거를 닷새 앞둔 8일 사전투표에 나선 바 있어, 이번 선거에서 사전투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문 대통령은 2018년 당시 김정숙 여사와 함께 서울 종로구 삼청동주민센터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사전투표했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장하성 정책실장을 비롯해 청와대 비서관과 행정관 등이 함께했다. 대통령이 사전투표를 한 건 제도 도입 이후 이때가 처음이었다.
이때 문 대통령의 사전투표 의미는 '투표 독려'였다. 당시 청와대는 "지방선거 투표율이 50%대로 낮아 사전 투표를 통해 투표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문 대통령과 청와대의 사전투표 이슈화로 첫날 투표율이 직전 지방선거 사전투표 첫날 투표율(4.75%)보다 두 배 가량 높은 8.77%로 집계됐다.
하지만 일각에는 문 대통령의 사전 투표에 대한 불편한 시각이 있다. 정식 투표일 전 여당을 측면 지원하는 모습으로 비쳐질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일례로 박근혜 정부 당시 청와대는 20대 총선 일을 닷새 앞둔 2016년 4월 8일 박 대통령이 충북-전북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방문한 뒤 귀경길에 사전투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가 정치적 논란을 고려해 취소했다.
더불어 문 대통령의 투표 당시 '의상'도 정치적 의미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공직선거법상 정치적 중립 의무를 지켜야 할 대통령이 정당의 상징색을 입고 투표한다면 선거개입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박 전 대통령은 총선 투표 당시 새누리당(현 미래통합당)을 상징하는 빨간색 옷을 입어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