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화학사고 예방을 위해 도내 50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유해화학물질 컨설팅(측정·분석)을 한다고 4일 밝혔다.
도는 오는 24일까지 수탁사업자를 공개 모집하고 12월 말까지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주 내용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의 화학사고 예방과 대응 방안이며, 배출물질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배출원인 분석과 배출 저감 방법(공정·시설 개선 등)도 중점적으로 다룬다.
도는 중대재해처벌법 등 안전 관련 법 규정, 안전 장비·안전 지침 등 구비, 화학물질 보관시설 적정관리, 시설 노후·고장 등 점검, 각종 유해화학물질 관련 제출서류 보완 등을 점검한다.
한편 도는 지난해 이 사업을 추진한 결과 안전 강화를 위한 시설개선, 안내 문구 부착, 안전 장비 및 방제약품 구비 등 작업자 안전 강화, 화학물질 배출량 등 각종 서류 보완 조치 등이 이뤄졌다. 또 참여 사업장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사업장의 99%가 만족도를 나타내는 등 사업의 효과성이 뛰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컨설팅 사업을 비롯해 화학사고 대비 합동훈련, 사업장 안전진단 문자 발송, 민·관·산 참여 협의회 운영 등으로 도내 화학 사고는 2021년 26건에서 2022년 17건으로 9건이 감소하는 성과를 거뒀다.
김경호 경기도 환경안전관리과장은 “화학물질은 실생활에 꼭 필요하지만, 사고가 발생하면 인체에 치명적이고 도민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컨설팅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며 “올해 사업은 지난해 사업의 문제점을 자세히 분석하고 보완해 내실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