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하락 때 수익 내는 풋옵션
2분기 포트폴리오 90%로 채워
영화 ‘빅쇼트’의 실제 주인공이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측해 대박을 터뜨린 투자자 마이클 버리(52) 사이언매니지먼트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주식시장 붕괴에 16억 5000만 달러(약 2조 2100억원)를 걸었다. 그는 금융위기가 닥치기 전 공매도에 나서 27억 달러를 벌어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16일(현지시간) 미 CNN 등에 따르면 버리가 이끄는 사이언매니지먼트는 올 2분기 S&P500과 나스닥100지수 약세장에 16억 5000만 달러어치를 베팅했다. 특히 올해 강세를 보이는 시장 추세와는 역행하는 행보인 만큼 주목된다. 올 들어 S&P 500 지수는 17% 이상 올랐고 나스닥 종합 지수도 30%가량 올랐다.
사이언은 2분기 S&P500지수를 추종하는 펀드에 대한 풋옵션 8억 6600만 달러어치를 사들였고 나스닥 100 지수를 따르는 펀드의 풋옵션도 7억 3900만 달러가량 매수했다. 포트폴리오의 90%가량을 미 증시 붕괴에 건 것이다.
풋옵션은 미래 특정 시점에 주식을 팔 수 있는 권리다. 주로 하락장을 예상하는 투자자들이 매입하는 상품이다.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기대하고 시장가격보다 높은 정해진 행사 가격에 매도해 시세차익을 거둘 수 있다. 다만 사이언이 매입한 풋옵션에 대한 행사 가격과 만기일은 공개되지 않았다. 따라서 쇼트(매도) 포지션을 통해 차익 실현했는지는 알 수 없다.
버리 CEO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시장붕괴에 대한 예측으로 크게 수익을 올린 이력을 감안하면 하락장이 도래할 수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한다. 그의 투자 내용이 공개되자 시장이 들썩거렸다. 버리 CEO가 2008년 당시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를 정확히 예측했기 때문에 이번에도 미국 증시가 반토막 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92)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도 최근 하락장을 염두에 둔 투자 행보를 보였다. 버핏의 투자회사 버크셔 해서웨이가 지난 2분기에 주식을 산 것보다 80억 달러어치를 더 내다팔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시장에선 기업 수익에 비해 주가 상승세가 과도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 신용등급 강등과 중국 경기둔화 등은 약세 요인으로 꼽힌다. 역사적으로 11번의 금리인상 시점에 침체를 완벽하게 비껴간 경우는 네 차례뿐이었다.
반면 버리가 오판했다는 시각도 있다. 올헤 들어 S&P 500 지수는 17% 이상 올랐고 나스닥 종합 지수도 30%가량 올랐다. 고금리에도 인공지능(AI)의 호황으로 기술주들이 급등하면서 주가를 끌어올린 덕분이다.
여기에다 미국인들의 소비지출은 늘고 있고 실업률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1년 넘게 금리를 올려온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이 더 이상 금리를 올리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다수의 펀드매니저들은 이를 근거로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