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미래권력' 한동훈에게 필요한 세 가지


입력 2024.04.28 00:00 수정 2024.04.28 00:00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이재명·조국 보다 많은 '한동훈' 검색

차기 대선주자로서 스타성·잠재력 평가

콘텐츠·네트워크 부족 보완해야 할 과제

최대 난제 '尹과의 관계 설정' 심판대

서울 여의도 국회 앞 담장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응원 화환이 놓여져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서울 여의도 국회 앞 담장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응원 화환이 놓여져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물러 났지만 한동훈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차기 대권주자로서 잠재력을 의심하는 시각은 거의 없다. 특히 열광적인 지지층을 만들어내는 '스타성' 만큼은 보수진영 내 누구도 따를 수 없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칩거에 들어간 한 전 위원장을 향한 뜨거운 관심이 이를 방증한다.


실제 네이버데이터랩에 따르면 총선 이후인 13일부터 26일까지 한 전 위원장 검색량은 야권의 유력 대선주자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나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를 능가했다. 구체적인 검색량은 △15일 韓 62 李 43 曺 61 △18일 韓 44 李 30 曺 26 △21일 韓 69 李 24 曺 20 △24일 韓 34 李 24 曺 16(검색량 100 기준)으로 나타났다. 이 대표가 검색량에서 앞섰던 것은 19일(韓 36 李 44 曺 30)이 유일했다.


패배한 장수에 대한 관심이 오히려 승리자보다 더 높은 것은 굉장히 이례적이라는 게 정치권의 반응이다. 국민의힘의 한 관계자는 "선거 참패 후 국민적 관심에서 급격히 멀어졌던 과거 주요 정치인들과 분명히 다른 현상"이라며 "미래권력으로서 잠재력이 있다고 인정받는 이유"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총선 패배 과정에서 확인된 과제도 적지 않다. 가장 먼저 '콘텐츠의 부재'가 꼽힌다. 비대위원장 취임 일성으로 "운동권 특권정치 청산"을 띄운 한 전 위원장은 이·조 심판론으로 전환해 공세를 펼쳤지만, 심판과 청산 이후의 비전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국민의힘의 한 원외 조직위원장은 "이·조 심판론이 먹히지 않았다는 것은 초기에 알았다"며 "알고도 다른 대안이 없었기에 전략을 수정하지 못했던 것"이라고 했다.


따라서 한 전 위원장이 당분간 휴지기를 가지며 경제·외교·국방 등 국정운영을 위한 콘텐츠와 비전을 가다듬어야 한다는 조언이 적지 않다. 일각에서는 전당대회에 출마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지만,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는다. 한 전 위원장도 자신의 SNS를 통해 "정교해지기 위해 시간을 갖고 공부하고 성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13일부터 25일까지 한동훈·이재명·조국에 대한 네이버 검색량 비교 ⓒ네이버데이터랩 지난 13일부터 25일까지 한동훈·이재명·조국에 대한 네이버 검색량 비교 ⓒ네이버데이터랩

두 번째 과제로는 '인적 네트워크의 확장'이 제시된다. 평생 검사로 살아온 한 전 위원장의 네트워크는 대중정치인들과 비교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국정운영 비전을 제시하더라도 이론적으로 뒷받침이 되어줄 전문가 그룹이 없다면 대국민 설득력은 떨어진다.


여권의 한 전략통은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을 선거 때마다 찾는 것은 중도·합리적 이미지 때문이 아니라 실은 다방면의 전문가 그룹과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기 때문"라며 "한 전 위원장이 시간을 가지고 네트워크를 넓힐 수 있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군도 확보하고 비전도 강화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것"이라고 전망했다.


네트워크 확장 측면에서 지지층과의 직접 소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대선 패배 후 온라인 카페 '재명이네 마을'에서 지지층과 공감대를 넓혔던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대표적인 사례다.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은 "지금은 정치에서 공감대 형성이 중요한 시대"라며 "한 전 위원장이 그동안에는 당과 언론 등 공적으로만 소통을 해왔는데 앞으로는 SNS 등을 활용한 지지층과의 접촉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최대 난제는 윤석열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이다. 직선제 개헌 이후 모든 대통령은 이전 대통령의 '안티테제'였으며 윤 대통령 역시 마찬가지다. 현직 대통령 지지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떨어지기 마련이며, 대선은 필연적으로 이를 극복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 전 위원장은 윤 대통령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둘 수밖에 없다. 최근 한 전 위원장이 대통령실의 오찬 초청을 거절한 것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왔던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문제는 각을 세우는 것으로 끝나는 야권과 달리, 여당의 대선주자는 현직 대통령을 계속 지지하는 지지층과 돌아선 지지층의 마음을 동시에 잡아야 하는 고차방정식을 풀어야 한다는 점이다. '현재 권력이 미래 권력을 만들 순 없어도, 떨어뜨릴 수는 있다'는 것이 정치권의 오래된 격언이다. 이 과정에서 현재 권력과 '한 몸'으로 묶거나, 혹은 완전히 갈라서게 만들려는 경쟁자들의 공세도 넘어야 할 장애물이다.


국민의힘의 한 재선의원은 "결국은 '불가근불가원'"이라며 "국민만 보고 간다는 큰 틀에서 사안마다 일관성 있는 입장을 내놓아야 하는데, 고도의 정무적 판단력과 균형감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전 위원장이 차기 대선주자로서 자격이 있는지 이제 진짜 검증대에 오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계성 기자 (minjk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